
2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주택가 일대에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분류 배출된 모습. 정은혜 기자
투명 페트병은 '일순위'로 따로 배출

예를 들어 페트 소재의 투명한 일회용컵은 투명 페트병 함에 바로 버리면 된다. 단 투명 페트 소재인 생수병은 라벨과 뚜껑을 제거해 버려야 한다. 환경부의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제'에 따라 아파트는 투명 페트병과 나머지 플라스틱을 분류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경우가 많다. 투명 페트병 함이 없는 아파트 또는 주택가라면 투명 페트만 따로 담아 분류 배출하면 된다.
투명해도 색이 있는 페트병은 나머지 일반 플라스틱과 함께 모아 배출해야 한다. 투명한 일회용컵이라 해도 커피 프랜차이즈 로고 등이 인쇄된 경우는 투명 페트병함에 버리면 안 된다.
플라스틱 원료 확인하기

원료에 따라 총 7개로 분류되는 플라스틱 재활용 마크. 국제적(IOS)으로 숫자 1~7로 구분하고, 우리나라에선 한글을 병기해 표시한다. 사진 SK에코플렌트
콜라, 생수 등 음료 제품 다수의 경우 뚜껑은 HDPE, 라벨은 PP, 병은 페트로 소재가 다르다. 뚜껑, 라벨, 병을 다 분리한 상태에서 배출해야 재활용율이 높아진다.

2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주택가 일대에 분류 배출된 플라스틱 맥주병. 병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페트 표시가 있지만, 정작 제품 설명에는 재활용이 어려운 OHTER라고 쓰여 있다. 정은혜 기자
플라스틱 병뚜껑은 따로 배출

2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주택가 일대에서 배출된 한 플라스틱 맥주병의 병뚜껑. 맥주병에서 뚜껑을 분리해 확인해보니 재활용되지 않는 이중 병뚜껑이었다. 정은혜 기자
스티커 제거와 음식물 세척

2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주택가 일대에 배출된 섬유유연제 용기. '재활용 우수'라고 적혀 있지만 뚜껑도 스티커도 분리되지 않아 선별장에서 소각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정은혜 기자
음식 내용물도 마찬가지다. 미리 세척해서 버리면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는 대부분 재활용 된다. 플라스틱 재활용 업체 일신케미칼 박용준 대표는 "가정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종류별로 플라스틱을 분리한 채 배출하면 재활용률이 올라간다"고 했다.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기업도 친환경 용기 사용률을 높이고 있어, 종류별로 깨끗하게 들어오기만 하면 플라스틱에 색소가 있든 없든 재활용 할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플라스틱보다 재활용 어려운 종이 빨대

2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스타벅스 DT(드라이브 쓰루·자동차 안에서 음료를 주문하고 수령) 매장에서 받은 음료에 종이 빨대가 꽂혀 있다. 정은혜 기자
추석 선물 포장재도 마찬가지다. 갈색 종이 포장재를 보면 친환경적으로 보이지만 코팅된 종이는 실제 재활용이 어려워 종량제 봉투에 버리는 게 낫다. 박 대표는 "음료나 스티커 또는 접착 이물질이 남는 것도 문제고 코팅된 소재도 문제"라며 "친환경 제품으로 보이는 물질들이 실제 재활용률이 높지 않은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