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국적 유조선이 지난해 4월 그리스 중부 에비아섬 인근 카리스토스 해안에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그리스가 대표적이다. 그리스는 전쟁 과정에서 자국의 핵심 산업인 해운·선박업을 통해 막대한 돈을 벌고 있다.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는 “그리스가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제재를 외면한 채 자국 유조선을 대대적으로 판매하면서 경제적 호황을 맛보고 있다”고 전했다.
통상 전문 매체인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이후 12개월간 그리스는 유조선과 운반선 등 약 125척을 매각해 40억 달러(약 5조3000억원)를 벌어들였다. 지난 6월 그리스 매체 헬레닉 시핑뉴스는 그리스 기업들이 올해 들어 유조선 97척을 팔아넘기며 전 세계 판매량의 25%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컨설팅 업체 베셀밸류에 따르면 그리스가 2022년 1월부터 지난 8월까지 유조선 판매로 총 24억7145만 달러(약 3조3488억원)를 벌어들여 노르웨이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신원 미상’ 기업에 불티나게 팔려

지난 6월 그리스 아테네 피레우스항에 대형 컨테이너 선이 정박해 있다. 신화=연합뉴스
FP는 “이들 기업은 러시아의 원유 수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의심된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이 벌어진 후 대러시아 제재의 영향권 밖에 있는 중고 유조선에 대한 러시아발 수요가 높아지면서 그리스 선박 판매량이 급증했다”고 전했다. 이처럼 신분이 불투명한 구매자에 팔려나간 그리스 유조선들은 보험 등 각종 제도권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그림자 함대’로 활동하며 서방의 제재를 벗어나고 있다. 그리스가 판매하는 유조선·화물선이 대러 제재 도피처가 된 셈이다.

김영옥 기자
FP “그리스, 우크라이나 평화 대신 돈 택해”
“UAE, 스위스 제치고 오일 허브 부상 ”

지난 2015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항에 UAE 국기가 걸려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특히 이러한 거래를 주도한 무역회사들의 본사는 대부분 두바이에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자유무역지대인 두바이멀티원자재센터(DMCC)엔 소유주가 누구인지 불분명한 무역 회사들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들이 주로 러시아산 석유의 구매와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며 “원유 거래상들에게 두바이는 새로운 제네바가 됐다”고 평가했다.

김영옥 기자
서방 상한제에도…러, 고유가 ‘반사이익’

러시아 국기와 천연가스 파이프를 합성한 이미지. 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는 국제사회에서 제재를 받고 있는 이란, 베네수엘라 등과 거래하거나 아예 소속이 불분명한 선박인 ‘그림자 선단’을 활용해 서방의 제재 속에서도 석유 수출을 이어왔다. 실제로 FT에 따르면 지난 8월 러시아의 모든 해상 원유 운송의 75%가 서방 기업들의 보험 없이 이뤄졌다.
오히려 최근엔 국제 유가가 100달러 선을 위협할 정도로 급등하면서 60달러 이하인 러시아 석유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키이우 경제대학(KSE)은 “지난 7월 이후 원유 가격이 꾸준히 상승한 것과 러시아의 원유가격 상한제 회피 덕에 러시아의 올해 원유 수출 수입이 예년보다 최소 150억 달러(약 20조475억원) 더 많을 것”이라고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