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나주시 빛가람동에 있는 한전 본사 사옥의 모습. 연합뉴스
3일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데이터센터 전기 공급 실태 특별감사에 착수한 결과, 2020년 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접수된 데이터센터 전기 사용 예정 통지 1001건 중 67.7%인 678건이 실수요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고객 한 명이 28군데에 데이터센터를 짓겠다고 신청하거나, 한 군데에서 6명이 동시에 신청하는 등의 사례가 나타났다. 전력공급 승인을 받고도 1년이 지났는데도 전기사용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경우도 33건이 발각됐다. 애당초 데이터센터로 활용할 계획이 없는 허수 신청이었던 것이다.

김영옥 기자
허수 신청이 많으면 많을수록 정작 데이터센터가 필요한 실수요자들이 제때 전력 공급을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센터는 5000㎾(킬로와트) 이상의 대용량 전력이 필요한 시설인 만큼 전력 수요가 과다하게 측정되면 설비 시설 과투자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유승훈 서울과기대 창의융합대학장은 “과잉 수요 예측으로 발전소가 필요 이상으로 지어지면 가동률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전기요금으로 전가된다”며 “결국 국민 부담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한전 감사실은 재발 방지를 위해 전기 사용 예정 통지 단계부터 토지·건축물 소유자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 신설하고, 실수요 목적이 아닌 고객의 예정 통지를 제한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한 장기간 공급 용량을 선점하는 데이터센터의 경우 전기 사용 신청을 반려하고, 사용 계약을 해지하도록 했다.

비수도권 지역에 건설된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춘천
유 학장은 “고용 효과는 크지 않으면서 전기 사용량이 막대한 데이터센터는 갈수록 늘어날 텐데, 허수를 걸러내고 정확히 수요를 측정하는 것이 일차적으로 중요하다”며 “특히 지역 분산을 통해 전력 공급이 원활한 발전소나 수력 에너지 활용이 가능한 댐 인근에 데이터센터 클러스터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마스터플랜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영상 한전 상임감사위원도 “부동산 투기억제 조치와 함께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수적 인프라인 전기·용수·통신네트워크설비를 갖추고 있는 지역을 ‘데이터센터 설립 권장지구’로 지정하는 등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