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28일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에서 홍익표 원내대표와 면담하고 있다. 이 대표는 구속영장이 기각된 지난달 27일 이후에도 병원에 머물고 있다. 사진 민주당
영장 기각사유 분석… "뭘 더 해야 하나" 반응도
검찰은 이 대표 사건 처리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구속영장 재청구는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 기간이 이미 길어진 터라 영장 기각을 뒤집을 만큼 특별한 뭔가 나오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국회도 이달 국정감사부터 연말까지 정기 회기가 예정돼 있다. 판을 뒤집을 증거가 확보되지 않는 이상, 검찰이 회기 중 영장 청구로 체포동의안을 다시 국회에 제출할 가능성은 낮다. 고검장 출신의 한 변호사는 “검찰이 이 대표 수사에 전력을 다한 것에 비해 성과가 마땅찮다는 지적이 많다. 무작정 더 밀고 나가면 수사 명분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고 했다.
'분리 기소' 거론돼… "전례 없다" 반박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뉴스1
일각에선 백현동·대북송금·위증교사 혐의 중 백현동, 위증교사 건만 떼어내 우선 기소하는 ‘쪼개기’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영장실질심사 당시 대북송금 의혹에 비해 두 혐의가 입증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인정받았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혐의별 분리 기소는 대형수사에서 전례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경지검 한 부장검사는 “백현동, 위증교사를 먼저 기소하면 쌍방울 수사가 제대로 안 됐다는 반박의 여지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 대표 관련 수사를 총괄적으로 연말 이전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수원지검 성남지청이 맡고 있는 ‘정자동 판교 H호텔 특혜 의혹’을 제외하면 그간 이 대표에 제기된 사건은 대부분 재판에 넘어간 상태다. 정자동 의혹은 이 대표의 측근이자 호텔 개발업자와 친분이 있는 걸로 알려진 정진상씨 등 주요 피의자에 대한 소환조사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