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일 경북 안동시 원도심 일대에서 시민 1000여 명이 국립의대 신설을 촉구하는 범시민 궐기대회에 참가해 가두행진을 하고 있다. 사진 안동시
이들이 나선 집회는 ‘국립의과대학 유치 범시민 궐기대회’였다. 안동시 주민자치협의회와 안동의료원·안동상공회의소·안동대학교 등 지역 기관·단체에서 1000여 명이 동참했다. 앞서 지난달 9일에도 안동에선 의대 신설을 촉구하는 범시민 궐기대회가 열렸다.
안동 시민이 한 달 간격으로 범시민 궐기대회를 연 것은 의사 부족 등으로 인한 지역 의료 공백이 심해지고 있어서다. 이날 집회에 참여한 권기창 안동시장은 “경북은 ‘치료가능 사망률(효과적인 치료가 이뤄졌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사망 비율)’이 높고, 의사수·공공병원 설치율 모두 전국 평균 이하인 의료취약지”라며 “반드시 국립의대를 설립해 지역 간 의료 불균형을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안동서 “국립의대 신설”요구, 1000여명 거리로

지난 4일 경북 안동시 원도심 일대에서 시민 1000여 명이 국립의대 신설을 촉구하는 범시민 궐기대회에 참가해 가두행진을 하고 있다. 사진 안동시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지난달 4일 국회에서 정태주 안동대 총장, 송하철 목포대 총장, 박병희 순천대 의대설립추진단장과 함께 ‘의료 최대 취약지 경북·전남 국립의대 설립 촉구’ 대정부 공동 건의문을 발표했다.
영호남 손잡고 의대 설립 촉구 공동건의문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지난달 4일 국회 소통관에서 '의료 최대 취약지 경북·전남 국립의대 설립 촉구' 대정부 공동건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이 자리에는 정태주 안동대 총장, 송하철 목포대 총장, 박병희 순천대 의대설립추진단장 등도 참석했다. 연합뉴스
현재 전국 40곳 의대 정원은 3058명이다. 1999년 이후 전국에 설립된 의대는 없다. 2006년 이후 18년 동안 변하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 때인 2020년 7월 당정 협의를 통해 2022년부터 연간 400명씩 10년 동안 의사 4000명을 양성하는 방안을 내놨지만, 보건의료 분야 노사정 합의를 넘지 못해 무산됐다.
억대 연봉 내걸어도 의사 못 구해

경남 산청군 산청읍에 있는 산청군보건의료원. 사진 산청군
의료계 “의료현안협의체 통해 논의해야”

지난 1 26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의료현안협의체 간담회에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왼쪽 다섯 번째), 이필수 대한의사협회장(오른쪽 다섯 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정권이 바뀌면서 의대 정원 확대 움직임이 일자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9·4 의정합의가 지난 정부에서 이뤄진 합의라고 해도 정부가 한 약속은 신뢰가 중요하며 정권이 바뀌더라도 존중되는 것이 마땅하다”며 “필수·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한 의료계 협력을 위해선 의료현안협의체를 통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