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 신인 A씨는 최근 출판기념회를 열면서 당원들에게 초대 문자를 돌리려다 포기했다. “당원명부가 없어 우리 지역 당원이 누가 있는지도 모르고, 연락처도 알 수 없다”는 게 이유였다.
4·10 총선을 6개월 앞두고 정치 신인의 서러움도 커지고 있다. “당내 경선도 현역 ‘위원장’에 비해 신인에게 불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역구 당원협의회(국민의힘)나 지역위원회(더불어민주당) ‘위원장’만 지역 사무실을 열고, 중앙당 행사에서 마이크를 잡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김영옥 기자
의정보고회와 당원 간담회·교육 등으로 평소 스킨십을 해온 위원장과 달리 정치 신인은 당원에겐 ‘낯선 이방인’일 수밖에 없다. 인천 지역구를 노리는 민주당 소속 B씨는 “당원이 모이는 지역 행사장에 가도 사회자가 지역위원장 눈치를 보느라 소개도 안 해준다. 초청장을 보내주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고 했다.
원외 신인은 예비후보 등록(선거일 120일) 이전엔 홍보 현수막도 걸 수 없는 등 얼굴과 이름을 알릴 기회도 봉쇄돼 있다. 헌법재판소가 180일 전부터 금지했던 기존 현수막 조항을 헌법불합치 결정하자 여야가 금지 기간을 두 달 단축하는 생색만 내곤 금지는 유지했기 때문이다. 반면에 당협·지역위원장은 ‘정당·정책 홍보’ 명목으로 개수 제한 없이 상시 걸 수 있는 특권을 누린다.
이재묵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현행 선거법은 인력과 자원, 인지도를 가진 현역·위원장과 맞붙어서 신인이 승리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