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10/09/bcb6b426-3862-41f6-8c38-b7d512182ab3.jpg)
[중앙포토]
매년 10월 10일은 임산부의 날이다. 2005년 제정돼 2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지만, 시민단체 직장갑질119에 제보된 A씨의 사례는 임신·육아를 대하는 한국 사회의 현실을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다. 세계 최저수준인 합계출산율(0.78명)을 끌어올리기 위한 여러 정책이 나왔지만, 정작 기본적인 모성보호 제도조차 지키지 않는 사업장이 많았다.

김경진 기자
유형별로 여성·임산부·연소자의 야간 휴일근로 관련 위반이 전체의 77.8%로 가장 많았고, 임신근로자 시간외 금지 위반(7.7%)이 뒤를 이었다. 근로기준법상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는 원칙적으로 연장근로나 야간근로, 휴일근로를 할 수 없다. 근로자의 요구가 있더라도 ‘쉬운 종류의 근로’를 시키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외에도 육아휴직 미허용(3.9%), 배우자출산 미허용(2.5%), 출산휴가·산재요양 중 해고(1.8%), 출산휴가 미부여(1.3%), 출산휴가 유급 위반(1.3%) 등 임신·육아 근로자를 노골적으로 배척하는 위반 사항이 많았다. 만일 사업주가 육아휴직을 썼다는 이유로 해고 등 불리한 처우를 할 경우 최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김경진 기자
그나마 이렇게 신고가 이뤄져 통계에 잡히는 것은 ‘빙산의 일각’이다. 회사로부터의 불이익을 문제 제기해도 보복당할까 두려워 신고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직장갑질119가 아름다운재단과 함께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45.5%가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쓰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출산휴가조차 자유롭게 쓰지 못한다는 비중도 40%에 달했다.
미약한 처벌이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6년간 발생한 6174건의 위반 사건 가운데 사법처리된 건수는 5.9%인 367건에 불과하다. 과태료 처분(49건)까지 합쳐도 6.7%인 416건에 그친다. 나머지 93.3%(5758건)는 모두 ‘시정완료’로 종결됐다. 노무법인 돌꽃의 김유경 노무사는 “출산·육아휴직 미부여나 휴직 이후 노동자에 대한 불리한 처우는 노동관계법령상 형사처벌 조항이 있는 명백한 범죄행위”라며 “그런데도 정부는 실효성 있는 제재 조치 대신 방관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정부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 모성보호 제도를 확대하는 방안을 잇달아 내놓고 있지만, 제도 마련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부모들이 사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대수 의원은 “영세중소기업일수록 현재 시행되고 있는 모성보호 제도들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정부는 모성보호 제도 확충뿐 아니라, 현장에서 제도가 잘 지켜지고 있는지에 대한 관리·감독도 소홀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