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인뱅, 새 대출비중 논의

김영옥 기자
앞서 지난 2021년 5월 금융위원회는 ‘인터넷전문은행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금융당국이 설정한 인뱅 3사의 올해 말까지 평균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는 30%였다. 출범 초기 인뱅 3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기대보다 낮자, 매년 연 단위로 대출 확대 계획을 받아 관리하겠다는 의도였다.
이후 인뱅 3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매년 늘었다. 각사 공시에 따르면 3분기 기준 카카오뱅크는 28.7%, 케이뱅크 26.5%, 토스뱅크는 34.5%로 집계됐다. 올해 말까지 카카오뱅크(30%)·케이뱅크(32%)·토스뱅크(44%)가 목표한 비중을 달성하면, 금융당국이 처음 목표한 중·저신용자 평균 대출 비중(잔액기준 30%)을 넘긴다.
“대출 비중 과거보다 늘려라”

서울 영등포구 카카오뱅크 여의도오피스의 모습. 연합뉴스
현재 금융당국에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방향은 신규 대출에서 인뱅 3사의 중·저신용자 비중을 35% 이상으로 높이는 방향이다. 검토 방향대로 추진하면 인뱅 3사 중 토스뱅크를 제외하고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현재보다 중·저신용자 대출을 더 늘려야 한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 관계자는 “인뱅과 새 대출 비중 설정을 위해 논의 중인 것은 맞지만, 아직 협의가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고 했다.
서민금융 감소에…"인뱅 부담 떠넘기기"

케이뱅크 사옥의 모습. 사진 케이뱅크
저축은행중앙회 공시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올해 3분기 민간 중금리 대출 공급액은 1조4235억원으로 1년 전(3조1436억원)과 비교해 54.7% 감소했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의 자료에 따르면 NICE평가정보 기준 상위 69개 대부업체의 8월 말 기준 신규대출은 95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3066억원)의 30% 수준에 그쳤다. 주요 서민대출 창구가 닫히자, 금융당국이 신사업 인·허가권으로 압박 가능한 인뱅 3사에 중·저신용자 대출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연체율 급증, 인뱅 혁신 감소 우려

서울 강남구 토스뱅크 본사 모습. 연합뉴스
지나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확대가 인뱅의 원래 출범 목표 중 하나인 금융 혁신 역할을 감소시킬 것이란 지적도 있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인뱅은 제2금융권 대체자 역할을 하라고 만든 것이 아니라, 혁신을 통해 기존 은행 산업을 더 발전시키라고 만든 것”이라면서 “중·저신용자 대출 부담이 지나치게 늘면 그만큼 혁신에 투입할 자본력이 감소해 인뱅의 원래 출범 효과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