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심 개통 조직이 사용한 창원시 호텔 내부 모습. 경기남부경찰청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사기와 정보통신사업법 위반, 범죄단체 조직, 사문서 위조 등 혐의로 A씨 등 9명을 구속하고, 23명을 불구속 입건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28일 밝혔다.

대포 유심 생성 과정. 경기남부경찰청
대출 광고 올린 후 신분증 받아
만약 전화번호 변경 등 사유로 사용이 정지된 상태의 유심이 있는 경우 피해자 몰래 통신사에 유심 변경신청서를 제출, 유심을 개통하고는 1회선당 25만원~30만원에 보이스피싱 조직 등에 팔았다. A씨 등은 이렇게 866명의 개인정보로 2366회선의 대포 유심을 개통했고, 불법개통된 대포 유심은 보이스피싱에 악용돼 118명의 또 다른 사기 피해자(피해액 약 21억원)를 낳았던 것으로 경찰은 파악했다. 그러나 쓰지 않는 옛 휴대전화 번호로 유심이 개통된 탓에 피해자들은 이들 일당이 검거될 때까지 피해 사실 자체를 까맣게 몰랐다고 한다.

대포 유심 조직이 발급받은 유심 카드들. 경기남부경찰청
경찰 관계자는 “온라인 등을 통해 대출 등을 문의할 때 개인정보를 요구하면 해당 업체를 확인해야한다”며 “명의도용 방지를 위해 통신사 유심 변경 시 명의자들이 사용하는 휴대전화 번호로 변경 이력 상세 문자가 전달되는 제도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