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여의도 63아트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3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27일 기준) 전국 아파트값은 한 주 새 0.01% 내렸다. 지난 6월 19일 이후 23주 만의 하락이다. 수도권(-0.01%)과 지방(-0.02%) 모두 약세로 돌아섰다. 17개 시도 중에선 부산·인천(-0.07%), 대구·제주(-0.03%), 광주·전남(-0.02%) 등 11곳에서 아파트값이 내렸다.
지난주 0.03% 올랐던 서울 아파트값은 이번 주 보합(0%)을 기록했다. 주간 통계로 서울 집값 상승세가 멈춘 것은 지난 5월 15일(-0.01%) 이후 28주 만이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관망세로 매물이 쌓이고 매도 가격이 낮춰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25개 구 중 11곳이 내렸다. 서초구와 동작구, 서대문구 아파트값이 0.02%씩 하락 전환했고 종로·마포구(-0.01%)도 내림세로 돌아섰다. 서초구는 지난 4월 10일 이후 33주 만에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강남구(-0.04%)는 전주(-0.02%)보다 하락 폭이 커져 ‘강남 3구’ 중 송파구(0.01%)만 오름세를 보였다.
개별 단지를 보면, 서초구 서초동 삼풍아파트 전용면적 79㎡는 이달 초 23억원(11층)에 팔렸다. 지난 7월 거래가격(24억7000만원)보다 1억7000만원 내렸다. 최근 동작구 흑석동 ‘흑석한강푸르지오’ 전용 84㎡도 한 달 전보다 1억9000만원 낮은 13억원(13층)에 계약됐다.

김영옥 기자
거래가 줄자 매물이 쌓인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이 집계한 서울 아파트 매물 건수는 30일 기준 7만8490건으로, 6개월 전보다 26.4% 늘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이미 싼 매물이 많이 팔린 데다, 고금리에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판매 중단 등으로 매수 심리가 둔화했다”며 “당분간 집값 약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