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감찬함(DDH-II)이 지난 1일 동해 해상에서 자함으로 고속 접근하는 적 항공기를 모사한 대공무인표적기를 향해 SM-2 함대공 유도탄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해군은 지난 1일 ‘SM-2 함대공 유도탄 미사일’ 국내 첫 실사격 훈련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고 밝혔다. 사진 해군
해군은 3일 "지난 1일 동해 해상에서 'SM-2 함대공 유도탄 미사일' 국내 첫 실사격 훈련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며 "임의의 시간과 방향에서 고속 접근하는 무인표적기에 접촉한 강감찬함(DDH-Ⅱ)이 SM-2 유도탄을 발사해 정확하게 명중했다"고 밝혔다.
훈련은 해상에 있는 강감찬함이 고속으로 접근하는 적기를 모사한 무인표적기를 포착해 SM-2 유도탄을 발사해 제거하는 절차로 진행됐다. 이번 훈련의 성공은 함정 유도무기에 대한 국내 실사분석체계를 구축해 ▶유도무기 운용의 완전성을 제고하고 ▶함정의 전투준비태세를 향상시키고 ▶국산 유도무기의 검증기반을 마련해 'K-방산'의 신뢰도를 높이고 ▶실사격 훈련 예산을 절감하는 등의 의미를 가졌다는 게 해군 측의 설명이다.

지난 1일 동해 해상에서 한국 해군 구축함 강감찬함이 SM-2 함대공 유도탄 미사일 실사격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해군 제공.연합뉴스
그러다 올해 국방과학연구소(ADD)의 삼척해양연구센터가 전력화됐다. 또 해군과 ADD가 해상 유도무기의 과학적 실사분석체계를 구축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해상 유도무기 실사격 훈련이 가능해졌다.
군 당국은 향후 국내에서 유도무기 실사격 훈련을 진행한다면 해외 실사격 훈련과 대비해 함정의 운용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회당 10억여 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손권 ADD 삼척해양연구센터장은 "국내에서 함정 유도무기를 분석ㆍ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갖췄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며 "ADD와 방산기업이 더 우수한 함정 유도무기를 개발하고, 성능을 높여나갈 수 있도록 센터의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해군은 앞으로 삼척해양연구센터 해상시험장을 활용해 해군이 보유한 다양한 전투탄 실사격 훈련을 진행해 실전 교전 능력을 검증하고 전투준비태세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국산 함정 전투체계와 유도탄에 대한 과학적 분석·평가 결과를 방산무기체계 제작기업에 제공해 국산 정밀유도무기를 발전시키고 신뢰도를 높이는 데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일 동해 해상에서 한국 해군 구축함 강감찬함이 SM-2 함대공 유도탄 미사일 실사격 훈련을 실시하는 모습. 해군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