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원 한국은행 은행리스크팀 과장 등 연구진은 11일 "예대금리차 수준이 낮은 예금취급기관은 총자산수익률뿐 아니라 자본 관련 지표의 수준도 저하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기준금리 인상과 지난해 하반기 일부 은행들이 유동성 규제 정상화 대응, 시장성 수신 애로 완화 등을 위해 수신을 늘림에 따라 은행과 경쟁 관계에 있는 상호금융,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도 수신 확보를 위해 예금금리를 빠르게 인상했다.
지난해 3분기 은행권의 예금금리 스프레드(가중평균 예금금리와 시장성 수신금리 간의 차이)는 0.83%포인트로, 201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비은행권의 예금금리 스프레드는 4분기 1.42%포인트로 확대됐다.
은행권보다 예금금리를 높게 책정하는 비은행권의 수신 행태가 지속하자, 올해 상반기 중 늘어난 예금의 64.9%는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비은행권에 예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유 과장은 "은행들에 의해 수신 경쟁이 촉발될 경우 그 파급영향이 예금 이외의 대체 자금 조달 수단이 부족한 비은행권에 빠르게 전이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단기간의 과도한 예금금리 인상은 수신 안정성 저하, 대출금리 인상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예대금리차가 적은 예금취급기관은 총자산수익률 뿐만 아니라 자본 관련 지표 수준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 과장은 "비은행권의 경우 위기 시 중앙회가 개별 회원기관에 시의적절하게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며 "이 점을 고려해 평상시 은행권의 예금 만기, 재예치 규모 등 유동성 관리 상황을 더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