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플] 기업가치 200조 오픈AI, 영리기업 전환한다...내부 수습은 '숙제'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66억달러(약 8조7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앞으로의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 또다른 동력을 얻는 동시에, 현재 비영리기업 형태에서 영리기업으로의 전환도 빨라질 전망이다. 사진은 지난 5월 마이크로소프트(MS)의 개발자 행사에 참석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의 모습. AFP=연합뉴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66억달러(약 8조70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앞으로의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 또다른 동력을 얻는 동시에, 현재 비영리기업 형태에서 영리기업으로의 전환도 빨라질 전망이다. 사진은 지난 5월 마이크로소프트(MS)의 개발자 행사에 참석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의 모습. AFP=연합뉴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66억 달러(약 8조700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 또다른 동력을 얻는 동시에, 현재 비영리 기업 형태에서 영리기업으로 전환도 빨라지게 됐다. 다만, 최근 고위임원을 포함한 핵심 인력의 잇따른 퇴사에 뒤숭숭한 내부 분위기를 수습해야 한다.

무슨 일이야

오픈AI는 2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66억 달러 투자 유치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기업가치는 1570억 달러(약 208조원)다. 9개월 전(800억 달러)보다 크게 늘었다. 뉴욕타임스(NYT)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미국의 벤처캐피털(VC) ‘쓰라이브 캐피털(Thrive Capital)’이 주도했고,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소프트뱅크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투자자로 거론됐던 애플은 참여하지 않았다. WSJ은 “역대 비상장 기업이 유치한 최대 규모 투자”라고 전했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왜 중요해 

이번 투자 유치로 오픈AI는 영리기업 전환에 속도를 내게 됐다. 투자계약서에 오픈AI가 2년 이내에 영리기업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투자자가 투자금을 강제 회수할 수 있다는 조항이 삽입됐기 때문이다. “모든 인류가 AI의 혜택을 누리도록 하자”는 목표를 내걸고 2015년 비영리 기업으로 설립된 오픈AI는 ‘오픈AI LP’라는 영리기업을 자회사로 세운 뒤 ‘이익제한기업’ 방식으로 운영돼 왔다. 이익에 상한선을 두고, 이를 초과하면 비영리 기업인 모회사(오픈AI)에 기부하는 형태의 사업체다. 투자자의 수익도 원금의 100배로 제한됐다.

하지만 최근들어 오픈AI는 영리기업 전환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보여왔다. 이익제한기업으로 운영을 지속하면 투자자의 수익이 제한돼 대규모 투자 유치가 어려워지고, 향후 수익성을 높이는 데에도 걸림돌이 될 거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생성AI 경쟁은 반도체 구입비용과 시설 투자, 뛰어난 인재 유치를 위해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자본 전쟁’으로 변모한 상황. 오픈AI는 빅테크 중에서 AI 기술력에서 가장 앞선다고 평가받지만, 수익성에는 의문이 따라붙는다. 실제로 NYT에 따르면 오픈AI의 올해 예상 매출(37억 달러)보다 사업비용(50억 달러)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행간을 읽자면

최근까진 오픈AI가 영리기업이 되면 AI 기술 부작용 등을 방치할 것이란 이유로 회사 안팎의 반대 의견이 존재했다. 지난해 11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이사회에 ‘기습 해고’된 후 닷새만에 복귀한 사태도 공동창업자인 일리아 수츠케버 수석과학자 등 일부 이사회 구성원이 오픈AI의 과도한 수익화를 우려해 발생한 사태였다. 그런 오픈AI가 대놓고 영리기업 전환에 나서게 된 건 경쟁사의 기술 추격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서다. 실제로 오픈AI는 이번 투자에 참여한 기업에 앤스로픽, xAI 등 경쟁사에 투자를 지양해달라는 당부를 전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이 전했다. 앤스로픽은 오픈AI 공동창업자인 존 슐먼 AI 모델 학습책임자가 지난 8월 퇴사 후 합류한 AI 스타트업이고, xAI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설립한 AI 기업이다.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오픈AI는 향후 차세대 AI 모델 개발과 서비스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들은 지난 5월 사람처럼 보고 듣고, 음성대화까지가능한AI 모델 ‘GPT-4o(포오)’를 공개했다. 이어 지난달 높은 차원의 추론을 하는 차세대 AI 모델 ‘오픈AI o1(오원)’을 출시했다. 이외에 애플의 유명 디자이너로 근무했던 조너선 아이브와 협업해 생성AI 모델을 탑재한 하드웨어(HW)를 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라 무라티 오픈AI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지난 5월 오픈AI의 인공지능(AI) 모델 'GPT-4o(포오)'를 공개하고 있다. 그는 지난달 25일 소셜미디어에 게재한 입장문을 통해 “스스로를 되돌아보기 위한 시간과 여유가 필요하다”며 퇴사 사실을 공개했다. 사진 오픈AI 유튜브 캡처

미라 무라티 오픈AI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지난 5월 오픈AI의 인공지능(AI) 모델 'GPT-4o(포오)'를 공개하고 있다. 그는 지난달 25일 소셜미디어에 게재한 입장문을 통해 “스스로를 되돌아보기 위한 시간과 여유가 필요하다”며 퇴사 사실을 공개했다. 사진 오픈AI 유튜브 캡처

이걸 알아야 해

최근 핵심인력 이탈에 따른 어수선한 내부 상황은 오픈AI가 수습해야 할 숙제다. 기술 개발 등을 이끌어온 핵심 고위 임원이 줄줄이 빠져나가며 향후 AI 연구와 개발에도 차질이 빚어질 위험이 커졌다. 지난 달 25일 미라 무라티 오픈AI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스스로를 되돌아보기 위한 시간과 여유가 필요하다”며 퇴사 사실을 공개했다. 같은 날 또 다른 고위임원인 밥 맥그루 최고연구책임자(CRO)도 퇴사했다. 지난 5월에는 핵심 개발자이자 수석과학자였던 수츠케버도 퇴사했다.

연이은 핵심 임원의 퇴사를 계기로 샘 올트먼 오픈AI CEO의 경영자로서의 능력에 대한 의구심도 싹트고 있다. IT 전문매체인 ‘디인포메이션’은 지난달 복수의 내부자를 인용해 “올트먼은 내부 기술을 획기적인 제품으로 출시하도록 재촉하는 탓에 직원들이 야간과 주말에 근무하며 압박받고 있고, 무라티와 맥그루도 이를 피할 수 없었다”며 “올트먼이 인력 충원 등의 어려운 경영적인 결정도 미뤘던 탓에, 다른 임원이 대신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했다”고 전했다.

팩플
오픈AI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팩플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올트먼 쫓아낸 주동자의 돌변…‘실패한 쿠데타’ 막전막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1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