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열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의회에서 로런스 웡 싱가포르 총리와 공동언론발표를 마친 뒤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과 로런스 웡 싱가포르 총리는 이날 싱가포르 의회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원자재를 넘어 바이오와 첨단 산업과 전략물자까지 확장된 한·싱 공급망파트너십 약정(SCPA)과 액화천연가스(LNG)의 공동구매 등이 담긴 한·싱 LNG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CPA는 양국 정부 모두 다른 나라와는 최초로 맺은 양자 공급망 연대 체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뒤 공동 언론발표에서 “싱가포르는 지난 반세기 동안 국가 발전을 위해 함께 뛰어온 동반자이자 앞으로의 미래를 함께 개척해 나갈 핵심 파트너”라며 “저와 웡 총리는 점증하는 국제 경제의 불안정성에 대응해, 전략물자의 공급망과 에너지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공급망 파트너십 약정을 기초로 바이오, 에너지, 첨단산업 분야의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고 교란에도 함께 대응하기로 했다”며 “세계 3위의 LNG 수입국인 한국과 글로벌 LNG 교역 허브인 싱가포르 간에 체결한 LNG 협력 MOU도 에너지의 안정적인 국제 공급망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오전(현지시간) 싱가포르 의회에서 열린 로런스 웡 싱가포르 총리와의 한·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두 정상은 수교 50주년인 내년에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하기로도 합의했다. 기술협력 MOU와 스타트업 협력 MOU를 체결해 인공지능(AI)과 사이버보안, 디지털, 기후변화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두 정상은 북한에 대해서도 한목소리를 냈다. 윤 대통령은 공동 언론발표에서 “북한의 불법적인 핵 개발과 무모한 도발을 국제사회가 결코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웡 총리도 “한반도 통일에 도움이 되기 위한 건설적인 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싱가포르는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오후(현지시간) 싱가포르 현대자동차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를 방문해 이동 중 로봇개 '스팟'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이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등 양국 정·재계 인사 250여명이 참석한 한·싱가포르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한국의 산업별 공급망 정보와 싱가포르의 중계무역 물동량 정보가 공유된다면 경제 안보 위기 상황에서도 상호 번영의 기반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두 나라가 혁신의 파트너이자, 경제 안보의 핵심 파트너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싱가포르 현대자동차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를 찾아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카트를 탄 채 이동하며 센터 내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