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전기차 배터리 과열 막을 신기술 개발"

현대모비스가 전기차 초고속 충전 시 과열을 방지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현대모비스는 17일 전기차 배터리 과열을 방지하는 진동형 히트파이프(Pulsating Heat Pipe)를 개발해 상용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진동형 히트파이프란 물체 간 열 전달 효율을 높이는 금속관 모양의 열 전도체다. 알루미늄 합금과 냉매로 구성돼 있어 배터리셀 사이사이에 배치하면 급속 충전 시 급상승하는 배터리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배터리셀 냉각용 진동형 히트파이프’와 일반 알루미늄 쿨링 플레이트의 열방출 성능 비교 실험. 20도 가까운 온도 차이를 보여준다. 사진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배터리셀 냉각용 진동형 히트파이프’와 일반 알루미늄 쿨링 플레이트의 열방출 성능 비교 실험. 20도 가까운 온도 차이를 보여준다. 사진 현대모비스

진동형 히트파이프는 내부에서 냉매가 진동과 순환을 하면서 열을 고루 전달할 수 있어, 고속으로 달리는 차량에 적용해도 중력에 의한 성능 저하가 거의 없다. 일반 알루미늄 대비 열 전달 성능이 10배 이상 높아 과열된 배터리셀의 열기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한다. 진동형 히트파이프는 통상 스마트폰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디스플레이의 발열 제어에 쓰였는데 배터리 냉각 시스템에 적용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모비스는 대량 연속 생산이 가능한 프레스 공법을 적용해 진동형 히트파이프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낮췄다고 밝혔다. 또 두께 0.8㎜로, 일반 히트파이프(약 6㎜) 대비 얇고 넓은 면적을 구현해 차량용 배터리에 적합하다고도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에 개발된 진동형 히트파이프 기술을 현대차 아이오닉9과 기아 EV9 등 대형 전기차에 우선 적용하고, 현대차·기아 외에 다른 글로벌 업체들에 적극적인 기술 홍보 및 영업에 나설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배터리 안전과 충전 시간 단축 문제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극복을 위한 주요 선결 과제”라면서 “글로벌 완성차들을 대상으로 기술을 알리고 영업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