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일이야
과기정통부는 19일 국내 OTT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3대 전략을 발표했다. 글로벌 플랫폼 육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AI·디지털에 기반해 산업 생태계를 혁신하고, 디지털미디어 성장 기반을 강화하는 방안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3200만명 수준인 K-OTT 월간 글로벌 이용자 수를 2027년 1억명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지난해 10% 수준이었던 방송·OTT 산업의 AI 활용률을 2027년 50%까지 향상시키겠다는 게 목표다.
이게 왜 중요해
과기정통부가 발벗고 나선 건 국내 콘텐트 산업의 중요 축인 K-OTT 업황이 날로 어려워지는 중이라서다. 티빙·왓챠·웨이브 등 K-OTT는 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 등 대규모 자금을 앞세운 글로벌 OTT와 제작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렵고, 그로 인해 가입자 유치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티빙·왓챠·웨이브의 합산 영업손실은 2959억원에 달했다. 최근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을 추진하는 등 활로를 찾고 있지만, 지난 3분기 기준 두 회사의 누적 손실만 645억원(티빙 영업손실 223억원, 웨이브 지분법손실 422억원)에 달하는 등 쉽지 않은 상황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지난 2월부터 주요 K-OTT 회사들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각종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과기부는 이날 대대적 지원책을 마련한 데 대해 “글로벌 OTT와 경쟁 심화로 인해 K-OTT의 광고 수입과 가입자 감소 등 경영 여건이 악화되고 있으며, K-콘텐트의 세계적 흥행에도 불구하고 자본의 해외 의존도 심화와 제작비 상승 등에 따라 콘텐트 생태계 악화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며 “국내 미디어·콘텐트 산업의 동반 성장 및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위해서는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한 토종 플랫폼을 육성하고, AI를 활용한 디지털화로 산업 체질을 개선하는 게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는
그 중엔 K-OTT 기업이 AI 제작·변환 기술을 활용해 숏폼 콘텐트를 제작할 수 있게 지원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숏폼 드라마 신드롬’에 K-OTT가 대응할 수 있도록 돕겠단 취지다. 과기부는 K-OTT 기업이 오리지널 콘텐트 요약본을 만들거나, 후속 시리즈를 제작하고, 기존 시리즈를 숏폼 시리즈로 다시 제작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거라고 내다봤다.
더중앙플러스 : 콘텐트 전쟁
글로벌 콘텐트 플랫폼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미키’가 OTT로 들어갈 때…‘오겜’은 길바닥 나간 까닭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0326
“들숨에 키스, 날숨에 이혼” 100초 K-숏드라마의 도전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4659
“크래프톤 의장은 극단적 T” 게임사, 숏폼 1200억 쏜 이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2558
‘미키’가 OTT로 들어갈 때…‘오겜’은 길바닥 나간 까닭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0326
“들숨에 키스, 날숨에 이혼” 100초 K-숏드라마의 도전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4659
“크래프톤 의장은 극단적 T” 게임사, 숏폼 1200억 쏜 이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2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