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등에 따르면 최 권한대행은 1963년생 서울 출신이다. 오산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29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노무현 정부 때 재정경제부 증권제도과장·금융정책과장, 이명박 정부 땐 기재부 미래전략정책관·정책조정국장·경제정책국장 등 핵심 요직을 두루 지냈다. 특히 금융 분야와 거시정책 분야에서 각각 요직으로 꼽히는 금융정책과장과 경제정책국장을 모두 거치며 관료 사회에서 능력을 인정받았다.
탄핵 정국마다 요직 있다가 고초…이번엔 '대행의 대행'
최 권한대행은 기소는 피했지만, 박 전 대통령 탄핵 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5월 기재부 1차관을 끝으로 공직을 떠났다. 문재인 정부에서 두문불출했던 그는 2022년 3월 윤석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경제1분과 간사로 발탁되며 관가로 다시 돌아왔다. 대통령실 경제수석을 역임한 다음 지난해 12월엔 '친정' 기재부 수장(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으로 6년 만에 금의환향했다. 기재부 안팎에선 "될 사람이 됐다"는 반응이 나왔다.
하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가 터지면서 그는 탄핵 정국을 공직 생활에서 또 경험하게 됐다. 공직에서 겪는 세 번째 탄핵 정국이라고 한다.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증권제도과장으로 근무했을 때가 처음이었다. 관가에서는 "최 권한대행의 관운이 탄핵과 기구하게 얽혔다"는 말도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엔 윤 대통령에 이어 한 대행의 탄핵안이 이날 가결되면서 '대행의 대행'이라는 부담스러운 자리를 떠안게 됐다. 대통령 권한대행과 국무총리 권한대행, 그리고 원래 제 역할인 경제부총리 및 기재부 장관이라는 '1인 3역'을 수행해야 하는 셈이다.
더불어민주당은 한 권한대행에게 했듯 최 권한대행에게도 국회 추천 헌법재판관 3명을 즉각 임명하라고 압박할 태세다. 임명을 거부한다면 최 권한대행도 탄핵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오후 국회 본회의 전 일부 기자들을 만나 "권한대행의 권한대행은 역할이 매우 제한적이라고 많은 분이 말씀하고 계신다"고 밝혔다. 자신이 권한대행직을 넘겨받더라도 역할이 한정적이란 얘기다.
최 권한대행은 한 대행의 직무가 이날 정지되면서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일정을 개시했다. 이날 발표한 대국민담화문에선 "지금은 국정 혼란을 최소화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부는 국정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상목 부총리 프로필
▶오산고·서울대 법학과·미국 코넬대 대학원(경제학 박사) ▶행정고시 29회 ▶재정경제부 증권제도과장·금융정책과장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위원회 실무위원 ▶기획재정부 장관정책보좌관·미래전략정책관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 ▶기재부 정책조정국장·경제정책국장·부총리 정책보좌관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실 경제금융비서관 ▶기획재정부 제1차관 ▶농협대 총장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간사 ▶대통령실 경제수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