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한국에 여객기가 도입된 이후 국내 항공기가 인명사고를 낸 것은 10여건이 넘는다.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 여객기가 추락해 사고 수습이 이뤄지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7분쯤 승객과 승무원 181명을 태운 태국발 제주항공 7C2216편 항공기가 무안공항 착륙을 시도하던 중 활주로 외벽에 부딪혀 폭발했다. 뉴스1
1987년에는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이륙 후 미얀마 양곤(랑군) 상공에서 폭파된 대한항공 여객기 사고로 115명이 사망했다. 일명 KAL기 폭파사건이다. 1993년 7월에는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전남 해남군 화원면 마천리 뒷산에 추락해 66명이 사망하고 44명이 크게 다쳤다. 1997년 8월에는 대한항공 여객기가 괌 국제공항 인근에 추락, 228명이 사망하고 26명이 다쳤다. 이후 2013년 7월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 착륙하던 중 사고가 났다. 이 사고로 3명이 사망했고, 182명이 부상했다.

1997년 괌 사고현장. 사고기 꼬리부분만 남은채 구겨져있다. 중앙포토

29일 오전 전남 무안군 무안공항에서 승객과 승무원 181명을 태운 여객기가 착륙 중 충돌 사고가 나 불길이 솟아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외국 국적기가 국내에서 대형 사고를 내기도 했다. 2002년 4월 중국국제항공 여객기가 김해공항 인근 돗대산에 추락, 166명의 탑승자 가운데 129명이 사망했다.
이 외에도 2011년 7월 아시아나항공 화물기가 제주도 차귀도 인근 해상에 추락해 승무원 2명이 사망했고, 1999년 12월에는 대한항공 화물기가 런던 스탠스테드 공항 인근에서 추락해 승무원 4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편 행정안전부 '2023 재난연감'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한국 국적 항공사의 항공기 사고는 총 67건이다. 이 기간 관련 사망자는 59명, 부상자는 73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