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회의 닷새간 韓 언급 일절 없었다…김정은 '대남 무시전략'

북한이 닷새간 연말 노동당 전원회의를 개최했지만 남한에 대한 언급은 일절 하지 않는 등 '패싱' 의도를 명확히 드러냈다. 지난해 전원회의에서 '적대적 두 국가론'을 앞세운 것과 대조된다. 대신 "자주 세력권이 약진하고 있다"고 자평하며 북·러 협력을 고리로 한 북한의 존재감 확대를 부각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올해 성과를 총화하고 내년 계획을 수립하는 노동당 중앙위원회 8기 제11차 전원회의가 지난 23일부터 27일까지 열렸다고 보도했다. 노동신문. 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올해 성과를 총화하고 내년 계획을 수립하는 노동당 중앙위원회 8기 제11차 전원회의가 지난 23일부터 27일까지 열렸다고 보도했다. 노동신문. 뉴스1

대남 메시지 전무…절제된 반응

29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23∼27일 노동당 본부에서 제8기 제11차 전원회의가 열렸다고 보도했지만, 대남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은 없었다. 

 
김정은은 지난해 12월 연말 전원회의에서는 "북남(남북) 관계는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 두 교전국 관계로 완전히 고착됐다. 통일은 언제 가도 성사될 수 없다"며 '두 국가론'을 앞세우며 대남 적개심을 드러냈다. 

이와 관련, 오경섭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두 국가론, 대남 적개심 고취 등에 대해 최근 북한이 여러 차례 이야기했기 때문에 이번엔 생략한 것으로 보인다"며 "대신 다음 달 최고인민회의에서 영토 조항 반영 등 헌법 개정을 하며 대남 언급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23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 북한의 연말 전원회의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최강경 대미 전략"을 천명했지만 한국에 대해선 아무런 공개 언급을 하지 않았다. 노동신문. 뉴스1

지난 23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 북한의 연말 전원회의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최강경 대미 전략"을 천명했지만 한국에 대해선 아무런 공개 언급을 하지 않았다. 노동신문. 뉴스1

 


"북한 국제 지위 올라가" 자찬

대남 언급을 자제한 김정은은 국제 정세와 관련해선 "강력한 자주 역량으로써 국제적 지위를 확고히 차지했다"며 자찬을 이어갔다. 김정은은 "올해 우리 국가의 국제적 지위를 제고하고 대외적 진지를 공고히 다지는 데서 성과가 이룩됐다"며 "자주 세력권의 장성과 약진이 두드러지고 패권세력권의 입지가 급격히 약화·쇠퇴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공을 들이는 반미·반서방 연대는 강화된 반면 미국의 패권은 약해지고 있다는 주장을 펼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정은은 또 "우리 국가의 주권적 권리들을 믿음직하게 수호하고 전망적인 국익증대와 국위선양의 견지에서 중대한 전략적의의를 가지는 성과들을 이룩했다"고 말했다. 지난 6월 평양 북·러 정상회담을 통해 군사 동맹에 준하는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한 점 등을 부각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지난 6월 평양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포괄적인 전락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서명하고 악수하는 모습. 노동신문. 뉴스1

지난 6월 평양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포괄적인 전락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서명하고 악수하는 모습. 노동신문. 뉴스1

 
이와 관련,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김정은은 국가의 주권적 권리 수호와 국익에 유리한 외교를 펼쳤다는 점을 자찬해 냉전 시대 김일성 주석의 '자주 외교', '비동맹 외교'를 연상하게 하는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정은이 "주동적이고 공세적인 대외활동으로 우리 혁명에 보다 유리한 대외적 국면을 마련해나가겠다"고 언급한 대목도 주목된다는 분석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추가 파병, 내년 5월 러시아의 전승절 열병식에 북한군 참여 등을 시사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김정은이 "앞으로도 유례없이 극난한 형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한 것도 신냉전 구도 장기화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계엄에 연기됐던 '마지막 NCG' 개최

한편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로 연기됐던 제4차 한·미 핵 협의그룹(NCG) 회의를 다음 달 10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한다고 국방부가 29일 밝혔다. 조창래 국방부 국방정책실장과 카라 애버크롬비 미국 국방부 정책부차관 대행이 회의를 공동 주관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바이든 행정부에서의 마지막 NCG 회의다.

당초 양국은 해당 회의를 지난 4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계엄 사태 여파로 연기됐다. 다만 당시 함께 진행될 예정이었던 제1차 NCG 도상연습(TTX) 일정은 이번에 포함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