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시장금리도 전반적으로 내렸지만, 은행의 예대금리차(대출-예금 금리)는 오히려 큰 폭으로 벌어져 4개월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대금리차는 은행의 핵심적인 이익 기반이다.
30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11월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예대금리차는 1.00∼1.27%p로 집계됐다.
은행별로는 KB국민은행과 NH농협의 예대금리차가 각각 1.27%p로 가장 컸고, 이어 하나(1.19%p)·우리(1.02%p)·신한(1.00%p) 순이었다. 전체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의 11월 예대금리차가 5.93%p로 1위였다. 2∼4위에 오른 토스뱅크(2.48%p), 한국씨티은행(2.41%p), 카카오뱅크(2.04%p)도 모두 2%p를 웃돌았다.
5대 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모두 1%p를 넘어선 것은 2023년 3월 이후 1년 8개월 만에 처음이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의 11월 예대금리차(1.27%p)는 2023년 2월(1.48%p) 이후 1년 9개월 만에 가장 컸다. 신한은행(1.00%p)·하나은행(1.19%p)·우리은행(1.02%p)의 경우 모두 지난해 4월(1.02%p·1.20%p·1.22%p) 이후, NH농협은행(1.27%p)은 올해 1월(1.50%p) 이후 최대 기록이다.
주요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는 것은 금리 하락기에는 이례적 현상이다. 시장금리가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시기에는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빨리 내려 예대금리차가 줄어드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국내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반대로 8월 이후 11월까지 넉 달째 줄곧 커지고 있다.
이는 3분기 수도권 집값 급등과 함께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자 금융당국이 은행들에 가계대출 수요 억제를 주문한 결과로 보인다. 은행들은 8월부터 본격적으로 가산금리 인상을 통해 대출금리를 높게 유지했다. 반대로 수신(예금) 금리는 시장금리가 내렸다며 여러차례 하향 조정했다.
이런 추세는 12월에도 이어졌다. 이달 주요 은행들은 예·적금 금리를 상품에 따라 최대 0.25%p 내렸다. 12월에도 주요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더 커졌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5개월 연속 예대금리차 상승이 된다.
다만 내년 초의 경우 가계대출 총량 관리 압박이 줄면서 대출 가산금리 인하 등과 함께 예대금리차가 축소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