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흙벽이 화 키웠다"…전문가도 본적 없는 '4m 둔덕'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된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끝 부분의 거대한 흙더미와 콘크리트 구조물. 황희규 기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된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끝 부분의 거대한 흙더미와 콘크리트 구조물. 황희규 기자

30일 오후 2시 제주항공 참사가 발생한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주변 도로. 공항 철조망 너머로 성인 남성 키의 배가 넘는 4m 높이의 흙언덕 주위에 항공기 파편이 흩어진 모습이 눈에 띄었다. 폭 15m, 길이 58m가 넘는 흙더미 위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전날 항공기와의 충돌로 곳곳이 파손된 상태였다. 

이날 활주로 주변에는 먼발치에서라도 사고 현장을 보려는 유족들의 발길도 이어졌다. 공항 감시초소 인근을 찾은 유족 6명은 거대한 구조물에 부딪힌 뒤 산산조각 난 동체를 보며 눈물을 터뜨렸다. 이들은 “○○야, ○○야. 우리를 두고 가면 어떡하냐”라며 오열했다.

국·내외 전문가들이 무안공항의 활주로 끝에 설치된 구조물을 놓고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피해를 키운 원인”이라고 주장해 논란이 예상된다. 해당 구조물은 공항 측이 항공기 착륙을 돕는 로컬라이저(Localizer·방위각 시설)를 교체하면서 만든 대형 시설물이다.

김인규 항공대 비행교육원장은 30일 중앙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활주로에 있는 (콘크리트) 둔덕이 없었다면 사고나 폭발이 덜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전날 제주항공 7C2216편이 착륙을 시도하면서 발생한 참사는 활주로에 설치된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해 피해가 커졌다는 취지다.

2018년 9월 구글 스트리트뷰에 찍힌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끝에 위치한 4m 높이의 로컬라이저(Localizer·방위각 시설) 둔덕. 사진 구글 캡처

2018년 9월 구글 스트리트뷰에 찍힌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끝에 위치한 4m 높이의 로컬라이저(Localizer·방위각 시설) 둔덕. 사진 구글 캡처

“무안공항 같은 둔덕, 다른 공항선 못 봤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된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끝 부분의 거대한 흙더미와 콘크리트 구조물. 황희규 기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된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끝 부분의 거대한 흙더미와 콘크리트 구조물. 황희규 기자

김 원장은 사고 당시 여객기가 동체착륙을 시도하다 견고하게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들이받은 후 폭발한 부분에 주목했다. 그는 “사고 당시 항공기 동체가 구조물에 부딪혀 큰 충돌이 일어나면서 곧바로 화재가 발생했다”며 “활주로 끝에 이런 높이의 둔덕은 어느 공항에서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해외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7C2216편이 구조물을 충돌해 인명 피해가 컸다는 주장이 나온다. 항공 전문가인 데이비드 리어마운트(David Learmount)는 영국 스카이뉴스에 출연해 “승객들은 활주로 끝을 조금 벗어난 곳에 있던 견고한 구조물에 부딪혀 사망했는데, 원래라면 그런 단단한 구조물이 있으면 안 되는 위치였다”고 주장했다.

 

높이 2m 둔덕, 작년 로컬라이저 교체 때 설치

30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인근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전날 제주항공 여객기와의 충돌 여파로 파손돼 있다.   방위각 시설은 공항의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안테나로, 흙으로 된 둔덕 상부에 있는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가 서 있는 구조다. 연합뉴스

30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인근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전날 제주항공 여객기와의 충돌 여파로 파손돼 있다. 방위각 시설은 공항의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안테나로, 흙으로 된 둔덕 상부에 있는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가 서 있는 구조다. 연합뉴스

무안공항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은 지난해 공항 로컬라이저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설치됐다. 로컬라이저는 항공기 착륙을 돕는 계기착륙시스템에 사용되는 항법 장비다. 교체 공사 당시 무안공항은 활주로 종단부 이후 기울어진 지면에 흙더미를 쌓아 수평을 맞춘 뒤 콘크리트를 씌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는 “무안공항은 활주로 끝단에서 약 251m 거리에 방위각 시설이 설치돼 있다”며 “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방위각 시설이 있다”고 말했다. 무안공항 측도 “항공기의 착륙을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한 로컬라이저는 내구연한이 도래해 규정대로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 “둔덕 없었다면 피해 줄었을 것”

지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무안 제주항공 참사 당시 여객기에서 불길이 치솟고 있다. 사진 무안소방서

지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무안 제주항공 참사 당시 여객기에서 불길이 치솟고 있다. 사진 무안소방서

하지만 상당수 전문가는 “무안공항처럼 로컬라이저를 견고하고 높은 콘크리트 돌출 구조물로 만드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말했다. 때문에 “공항 내 둔덕은 부서지기 쉬운 재질로 만들어야 하는데 법 규정을 준수했는지 따져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토교통부 예규에 따르면 공항 장비와 설치물은 항공기가 충돌했을 때 최소한의 손상 만을 입히도록 규정돼 있다.

 
한국항공보안학회 회장인 황호원 한국항공대학 항공우주법학과 교수는 “활주로 내 방위각 시설은 항공기 충돌을 염두에 둔 구조물이 아닌, 길을 안내하는 등대 역할을 한다”며 “가정이지만 흙더미와 콘크리트로 설치된 둔덕이 없었다면 인명 피해가 줄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