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가 부동산 학계·연구기관·금융권·민간시장조사기관 등 전문가 8인에게 ‘2025년 부동산 시장 전망’을 설문 조사한 결과, 전문가들은 올해도 정부의 대출 규제 기조가 유지되고, 탄핵 정국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상반기까지는 집값이 약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다 2분기 들어 정치적 불확실성이 걷히고, 기준금리 인하가 서서히 대출 규제를 상쇄하면서 하반기에는 집값이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하지만 집값 상승 폭을 두곤 의견이 엇갈렸다.
“서울 핵심지는 뜨겁다…경기 침체로 상저하'중' 될 수도”
특히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용산구, 한강변 아파트 등 이른바 상급지 아파트 단지는 올해도 강세를 띨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는 “‘똘똘한 한 채’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지속되고, 대출 규제로 구매력 있는 수요자만 집을 살 수 있을 것”이라며 “상급지 아파트는 오르겠지만 외곽지역은 하락해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리 인하·공급 부족 등이 하반기 집값을 자극할 수 있는 요인이라면, 경기 침체가 이 상승 여력을 끌어내릴 수 있다는 지적도 적지 않게 나왔다. 최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을 비롯해 한국은행 등 주요 기관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잇따라 하향 조정하면서다.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경기 침체로 구매력이 떨어지면 주택 가격 상승 폭이 올해처럼 나타나긴 어려울 것”이라고 짚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도 “올해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시행 등 가계대출 규제가 여전히 상수로 놓여 있다”며 “하반기에 집값이 오르더라도 올해 만큼 급등하긴 어려워 ‘상저하중’ 정도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서울·수도권 전세시장은 하반기에 불안 고조
올해 부동산 시장에 미칠 가장 큰 변수를 꼽아 달라는 질문엔 대부분 ‘대출 규제’ 완화 여부를 꼽았다. 지난해 8월까지 치솟던 수도권 집값이 9월 대출 규제 이후 상승세가 확 꺾일 만큼 위력을 발휘해서다. 김성환 부연구위원은 “여러 빅데이터 분석 결과, 주담대 금리 같은 금융 변수가 주택 가격 변화에 60%가량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시장은 정부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는 만큼 탄핵 정국이 어떻게 마무리되는지도 관건(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이란 의견도 나왔다. 함영진 랩장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통상정책이 국내에 미칠 영향도 중요하다”며 “정국 불안이 지속되고 외교적 대응이 잘 마련되지 못하면 경기 둔화 우려로 매매심리가 위축돼 집값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