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미국 하원이 중국 바이오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발의했던 ‘생물보안법’이 의회 문턱을 넘지 못하며 반사이익을 기대하던 K바이오 업계에 실망감이 감돌고 있다. 세계 최대 바이오 시장인 미국에서 퇴출 위기에 놓였던 중국 바이오 기업은 새해 들어 미국 공장 건설을 재개하는 등 수주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중국 기업의 빈자리를 노리던 국내 바이오기업들은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중장기 기회를 노리고 있다.
불발된 美생물보안법
미국 의회의 초당적 지지로 입법 가능성이 90% 이상인 것으로 점쳐졌던 해당 법안은 민주당의 짐 맥거번 하원의원, 공화당 랜드 폴 상원의원 등의 반대로 2025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 2025)에서 제외됐다. 이에 대해 맥거번 의원은 “공식 조사나 절차 없이 특정 회사를 규제 대상 기업으로 지정하는 것은 잘못됐다”며 “이름을 바꾸고 재편입해 제재를 피할 수 있는 상황도 가능하다”고 발언했다.
한숨 돌린 中바이오
올해 다시 입법 논의가 재개돼도 규제 대상 기업 지정과 해제 절차 등 논란이 됐던 조항은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법안을 반대했던 랜드 폴 의원이 상원 국토안보위원장 자리에 오르면서 입법이 더욱 어려워지게 됐다.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CDMO 기업과의 거래가 중단될 경우 의약품 생산 비용이 증가해 국민의 의료비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점도 고려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입법 방어에 성공한 이들 중국 기업은 중단했던 생산설비 건설을 재개했다. 우시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20년부터 미국 매사추세츠주에 3억 달러(약 4350억원) 규모의 바이오 의약품 공장을 짓고 있었다. 이 회사는 미국 내에서 생물보안법에 대한 지지가 한창이던 지난해 6월 작업을 중단했다가 법안 통과가 불투명해진 지난달 다시 공사를 재개했다.
셈법 복잡해진 K바이오
CDMO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국내 기업도 많았다. 셀트리온은 지난달 CDMO 전문기업인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를 자회사로 설립하고 내년 상반기 중 10만리터 규모 공장을 짓기로 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온라인 간담회에서 “내년부터 위탁연구(CRO), 위탁개발(CDO) 영업으로 2027년 1000억원, 2030년 5000억원의 매출을, 위탁생산(CMO)으로 2030년 1조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SK그룹은 SK팜테코와 SK바이오사이언스를 중심으로 CDMO 사업에 본격 나서고 있다. 이들 회사는 미국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기업인 CBM과 독일 CDMO 기업 IDT 바이오로지카를 각각 인수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약 4조6000억원을 투자해 인천 송도에 3개 생산 공장과 부속 건물 등이 들어설 바이오 캠퍼스를 짓고 있다. 공장이 완공되면 총 36만리터에 달하는 생산 역량을 갖춘다. 2022년 인수한 미국 생산공장은 항체·약물 접합체(ADC) 전문 위탁 생산 서비스 센터로 탈바꿈한 뒤, 올해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바이오 공급망 재편 불가피”
인구 고령화로 인해 전 세계 의약품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상황에서 연구·개발과 허가, 생산 전문기업을 필요로 하는 회사가 더욱 많아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크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추산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매출은 2029년 438억5000만달러(약 60조575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CDMO 사업의 경우 신약 개발과 달리 시간과 비용에 대한 투자 부담이 적고 마진율이 높다는 장점도 있다”며 “중국 기업의 빈자리를 노리는 유럽, 일본 기업과의 경쟁에 대비하기 위해 국내 기업도 지금부터 차근차근 경쟁력을 쌓아야 하는 시기”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