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올트먼 오픈AI CEO. EPA=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4/eade861e-e1dd-41ea-8228-e78f89a8e37d.jpg)
샘 올트먼 오픈AI CEO. EPA=연합뉴스
중국의 생성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의 등장으로 실리콘밸리에서도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딥시크가 추론형 모델인 r1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면서, 오픈소스 진영의 대장인 메타와 폐쇄형을 고집하던 오픈AI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무슨일이야
![김주원 기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4/a2e5278d-2c39-4820-94ec-4f2fc4b99451.jpg)
김주원 기자
실리콘밸리의 이유 있는 위기감
또 중국이 AI 인재와 자본을 군사력에 적극 활용할 우려도 있다. 의회, 시민사회 등 통제 장치가 없는 중국이 AI를 본격적으로 군비 경쟁에 활용한다면 통제하기 어려워진다는 우려다. 미국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블로그에 “AI 산업이 군사력과 결합한다면, 중국이 AI 뿐만 아니라 모든 면에서 세계 무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오픈소스 생태계 키우는 中
미국에 비해 후발주자에 속하는 중국도 컴퓨팅 자원 부족, 기술 부족 등 약점을 오픈소스로 극복하고 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지난해 8월 이미지와 비디오까지 처리할 수 있는 비전-언어 모델 큐웬(Qwen)2-VL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20분 이상 긴 비디오를 이해하고, 비디오 기반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한다. MIT테크놀로지스리뷰는 “효율성을 우선시하는 중국 기업들은 점점 더 오픈소스 원칙을 수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딥시크 창업자인 량원펑도 “오픈소스는 단순히 상업적 전략이 아니라 문화적인 선택”이라며 “오픈소스를 통해 더 많은 인재를 끌어들일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산 오픈소스 AI 큐웬과 딥시크.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4/c01ba373-aa01-4038-9cf9-6ad7d8c021af.jpg)
중국산 오픈소스 AI 큐웬과 딥시크. 로이터=연합뉴스
희비 엇갈리는 메타와 오픈AI
반면 딥시크의 기술적 혁신, 비용 효율성, 오픈소스 전략 등이 오픈AI의 기존 폐쇄형 모델 전략에 직접적인 타격을 줬다는 분석도 나온다. 딥시크는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비용을 약 95% 절감하며, 오픈AI의 o1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훨씬 저렴하게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또 ‘오픈AI니까 추론형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시장 믿음을 딥시크가 깨면서, 오픈AI에겐 위기라는 분석도 나온다. 오픈AI가 추론형 모델을 통해 기술적으로 우위에 있었는데, 딥시크가 추론형 모델을 오픈소스로 풀면서 앞으로 추론형 모델을 만들기 쉬워졌기 때문이다. 맛집 옆에 비슷한 메뉴를 파는 식당이 생겼는데, 이 식당이 돌연 해당 맛집과 유사한 레시피 공개한 격이다.
오픈소스 모델의 영향력이 커지자, GPT-3부터 안전상의 이유로 모델 정보를 공개하지 않던 오픈AI도 최근 일부 구형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에서 열린 ‘AMA(Ask Me Anything)’에서 “오픈AI가 역사의 잘못된 편(폐쇄형)에 서 있다고 생각한다”며 “다른 오픈 소스 전략을 알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팩플 : AI가 미래를 바꾼다
세상을 바꾸고 있는 AI, 더 자세한 기사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딥시크 쇼크? 4대천왕 더 있다…中 10년간의 ‘치밀한 빌드업’ [딥시크 스톰①]
파란 고래를 로고로 내세운 인공지능(AI) 챗봇이 글로벌 앱스토어 1위를 휩쓸며 챗GPT를 위협한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만든 동명의 서비스 딥시크다. 최신 반도체도, 소프트웨어(SW)도 미국이 틀어쥐고 제재했는데 대체 어떻게? 중국엔 딥시크 같은 AI 기업이 4000개 이상 있다는데, 딥시크 이후의 AI 세계, 한국은 생존할 수 있을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292
📌Future of AI, 미래를 보다 2025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10일이면 AI가 변합니다. 쏟아지는 새 AI 트렌드 속에 길 잃고 헤매셨다면? AI 에이전트, AI 검색…, 올해 꼭 알아야 할 핵심 트렌드, PDF 북 한권에 정리해 드립니다. AI 용어 가이드북, AI 석학 앤드루 응 스탠퍼드대 교수 독점 인터뷰 전문도 함께 담았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pdf/1011
📌딥시크 쇼크? 4대천왕 더 있다…中 10년간의 ‘치밀한 빌드업’ [딥시크 스톰①]
파란 고래를 로고로 내세운 인공지능(AI) 챗봇이 글로벌 앱스토어 1위를 휩쓸며 챗GPT를 위협한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만든 동명의 서비스 딥시크다. 최신 반도체도, 소프트웨어(SW)도 미국이 틀어쥐고 제재했는데 대체 어떻게? 중국엔 딥시크 같은 AI 기업이 4000개 이상 있다는데, 딥시크 이후의 AI 세계, 한국은 생존할 수 있을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292
📌Future of AI, 미래를 보다 2025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10일이면 AI가 변합니다. 쏟아지는 새 AI 트렌드 속에 길 잃고 헤매셨다면? AI 에이전트, AI 검색…, 올해 꼭 알아야 할 핵심 트렌드, PDF 북 한권에 정리해 드립니다. AI 용어 가이드북, AI 석학 앤드루 응 스탠퍼드대 교수 독점 인터뷰 전문도 함께 담았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pdf/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