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참여한 학생들. 연합뉴스
표정이 안 좋은 나경에게 민수가 이유를 물었다. 나경은 “하영이가 내게 서운해해서 왜 그럴까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공모전에 떨어진 하영이에게 ‘작품 주제가 공모전과 잘 안 맞았던 것 아니냐’고 했더니 ‘지금 말을 그렇게 해야겠냐’고 쏘아붙이더라”는 것이다. 민수는 “나라면 ‘다음에 잘하면 되니 너무 힘들어하지 말라’고 말했겠다”고 답했다. 하영이가 원하는 것을 나경은 ( )으로, 민수는 ( )으로 이해했다. 빈칸에 들어갈 말은.
올해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전국 초 3~고 2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이하 맞춤형 평가)’ 예시 문항 중 하나다. 문해력, 수리력 등 기초학력을 측정하는 맞춤형 평가가 다음달 4일부터 4월16일까지 전국 초 3~고 2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희망하는 학교는 모두 응시할 수 있다.

평가원이 공개한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고교생용 예시문항.

초등생용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초등생용 예시문항.
맞춤형 평가는 기초학력 저하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던 2023년부터 실시됐다. 시행 첫 해 초 6, 중 3, 고 2 3개 학년만을 대상으로 치러졌던 이 평가는 지난해 초 3·5·6, 중 1·3, 고 1·2로 대상이 확대됐다.
올해는 초 3부터 고 2까지 모든 학년이 시험을 치를 수 있다. 각 학교는 시험 시행 1주일 전까지 응시 여부를 결정, 접수하면 된다. 이 점에서 중 3과 고 2의 3%만 따로 뽑아 표집 평가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다르다.
올해는 오는 18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접수를 받는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해 응시 대상의 35%가 시험을 치렀으며, 이 중 책임교육학년인 초 3과 중 1은 80%로 응시율이 높았다”며 “올해는 시험 대상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시험 과목은 학년별로 다르다. 초 3은 문해력과 수리력 영역, 초 4~고 1은 국어·수학·영어·사회·과학, 고 2는 국어·수학·영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