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시크가 지난 14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일부 개정했다.로이터
중국의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가 최근 개인정보 처리방침 일부를 개정했지만, 중국 사법당국이나 기업 등으로의 사용자 개인 정보유출이 우려되는 대목이 곳곳에 숨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딥시크의 신규 다운로드를 막았지만, 미리 설치한 사용자들의 이용은 자유로운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18일 중앙일보는 전문과들과 함께 지난 14일 개정된 딥시크의 개인정보 정책 전문을 수정 전과 대조 분석했다. 김명주 AI안전연구소장,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염흥열 한국개인정보보호책임자협의회 회장이 참여했다. 새로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총 3625단어로 2420단어였던 기존에 비해 50% 늘었다. 쿠키정책에 관한 파트(716단어)가 새로 추가됐다. 보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문구를 세밀하게 수정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풀이했다.
강화같은 완화?
하지만 우려스러운 문구는 여전했고 일부는 추가됐다. '법적 의무 준수, 공익을 위한 업무 수행, 사용자나 타인의 중요한 이익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경우에는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는 문구는 바뀌지 않았다.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긴급상황에서 법 집행기관이나 응급시설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내용은 추가됐다. 경우에 따라 중국 사법당국에 정보가 흘러갈 수 있다는 점을 문서에 명시화한 것이다. 챗GPT 등 다른 생성AI 서비스도 비슷한 정책은 있지만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중국이기에 우려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염흥렬 회장은 “목적을 긴급상황이라고 한정했지만, 이를 빌미로 그 외 다른 목적으로 넘기는 정보가 없는지는 추가 확인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업정보 수집 안하나?
구글과 애플 이름이 등장하던 대목은 삭제됐다. ‘구글·애플 같은 제3의 플랫폼을 통해 로그인 했을 때 계정 정보를 공유한다’는 문구가 ‘마이크로소프트(MS) 빙 등의 응용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합한다’로 됐다. 예시가 바뀌고 문구도 완화됐다. 최근 이탈리아·한국 등서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 다운로드를 막은 데 따른 ‘눈치보기’로 풀이된다. 중국에서 빙 접속은 가능하지만 다른 검색엔진을 사용할 수 없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분석된다.

정근영 디자이너
민감한 개인식별 정보는 빠져
딥시크 앱 주간 사용자는 121만명(1월 말 기준)으로 챗GPT(493만명) 다음으로 많다. 김승주 교수는 “중국에는 데이터보안법이 존재해 중국정부는 회사가 수집한 정보에 접근을 할 수 있기에 위험하다”라며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