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5일 진행된 '삼성 퍼스트 룩 2025' 행사에서 2025년형 네오 QLED 8K를 소개하고 있다. 뉴스1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 TV시장에서 여전한 위용을 과시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계 TV 시장에서 19년 연속, LG전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분야에서 1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18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계 TV시장에서 매출액 기준 점유율 28.3%를 기록했다. 2006년 이후 19년 연속 1위다. LG전자는 16.1%로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인공지능(AI) TV 시대를 연 삼성전자는 네오(Neo) QLED·OLED·초대형·라이프스타일 등 프리미엄 제품 중심의 판매 전략으로 1위 자리를 지켰다. 특히 2500달러(약 360만원)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선 매출액 기준 점유율이 49.6%다.

김주원 기자
LG전자는 TV 부문 중 OLED 분야 최강자 자리를 지켰다. 지난해 세계 OLED TV시장에서 매출액 기준 49.3%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삼성전자(27.3%)가 2위로 뒤를 이었다. 2022년 OLED TV 시장에 뛰어든 삼성전자는 2년 만에 점유율이 네배 이상 늘었다. 반면 일본 소니는 점유율이 2020년 26.2%에서 지난해 12.8%로 반 토막 났다.

김주원 기자
초대형 TV 시장에선 중국이 역전했다. 지난해 삼성전자가 1위(30.9%) 자리를 지켰지만, 2023년까지 80형(인치) 이상 초대형 TV 시장 2위를 지켰던 LG전자는 지난해 점유율(13.8%)이 하락하며 4위로 추락했다. TCL이 17.2%를 기록하며 2위, 하이센스가 14%로 3위에 올랐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중국 기업들은 LG·삼성전자 제품과 비교해 많게는 최대 40% 이상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가성비를 내세워 시장 점유율을 대폭 늘리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