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클러 빼먹고, 다리에 균열…충북 ‘업사이클링’ 안전성 비상

충북도는 KTX오송역 선하공간을 활용해 실내면적 956.13㎡규모 건축물을 짓고, 도정 홍보관과 휴게 공간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성태 객원기자

충북도는 KTX오송역 선하공간을 활용해 실내면적 956.13㎡규모 건축물을 짓고, 도정 홍보관과 휴게 공간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성태 객원기자

스프링클러 빠진 오송역 선하공간 

김영환 충북지사가 추진하는 오송역 선하공간 개발과 옛 청풍교 관광자원화 사업이 안전성에 제동이 걸리면서 지연이 예상된다.

 
오송역 내 복합문화시설 공사는 스프링클러 미설치를 이유로 준공 기일이 미뤄지고 있다. 옛 청풍교는 안정성과 내구력을 평가한 정밀안전진단 종합평가가 ‘D등급(미흡)’으로 나와 충북도의회에서 보수 관련 예산이 반영될지 미지수다.

23일 충북도에 따르면 KTX 오송역 선하(線下) 공간에 짓는 복합문화시설에 대해 국가철도공단이 “스프링클러 설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선하 공간은 철로와 지상 사이 공간을 말한다. 이곳에 많은 사람이 오가는 다중이용시설을 짓는만큼 소방안전시설의 핵심인 스프링클러가 필요하다는 게 철도공단 의견이다.

 
이로 인해 지난해 12월 착공해, 올해 2월 준공 예정이었던 선하공간 개발 사업이 수개월 더 걸릴 전망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스프링클러 설치 예산 2억8000여만 원을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하겠다”며 “예산이 확정되는 4월 이후에나 스프링클러를 설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 KTX오송역 전경. 김성태 객원기자

충북 청주시 흥덕구 KTX오송역 전경. 김성태 객원기자

충북도 하수관 연결 추진…수개월 지연 전망 

도는 오송역 공사장에서 180여 m 떨어진 수도관에서 물을 끌어오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스프링클러와 연결된 저수조를 설치한 뒤 외부에서 가져온 물을 채워 넣는 방법도 고려 중이다.


 
김영환 지사가 제안한 오송역 선하 부지 공간 활용은 ‘업사이클링(Up-Cycling·새활용) 명소화’ 사업으로 주목받았다. 오송역 남측 B주차장과 교량 상판 사이 빈 곳에 새 건축물을 짓고, 이곳을 홍보·전시·휴식 기능을 갖춘 공간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3.6m 높이 기둥을 세우고 그 위로 2층 필로티 구조의 건축물을 세우는 방식이다. 실내면적 956.13㎡ 규모로 총 사업비는 37억원이다. 철도공단은 지난해 11월 “시설 안전 관련 전문가 자문을 시공에 반영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아 공사를 승인했다.

 
제천시 청풍면에 있는 옛 청풍교를 재활용하는 사업도 난관이다. 1985년 건설된 총길이 315m, 폭 10m의 옛 청풍교는 상판 처짐 등 안전 우려로 2012년 청풍대교 완공과 함께 용도 폐기됐다. 이 다리의 관리 책임을 맡은 충북도는 다리 철거 대신, 이곳에 다리의 원형을 활용한 정원과 걷기길·포토존을 설치하고 단계적으로 관광·체험시설을 확대해 나가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제천시 옛 청풍교 상판이 위아래로 구부러진 뱀 모양의 '기이한 모습'이 확인됐다. 뉴스1

제천시 옛 청풍교 상판이 위아래로 구부러진 뱀 모양의 '기이한 모습'이 확인됐다. 뉴스1

옛 청풍교 “주요 지점 결함”…안전 ‘D등급’ 

하지만 충북도가 최근 마무리한 청풍교 정밀안전진단 용역 결과에서 종합평가 ‘D등급’이 나와 다리 활용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이번 정밀안전진단은 교량의 설계 하중을 분석한 ‘안전성 평가’와 교량을 구성하는 재료의 강도와 성능을 시험한 ‘상태평가’ 등 2가지로 진행됐다. 그 결과 안전성 평가는 ‘A등급’, 상태평가는 ‘D등급’이 나왔다.

 
이를 종합한 결과를 D등급으로 판정했다. 용역 수행사는 “주요 지점에 결함이 발생해 긴급 보수·보강이 필요하다”며 “사용제한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상태”라고 평가했다. 용역 결과에 따르면 다리 바닥 판과 거더(교량 상판을 떠받치는 보), 교각 등에서 균열·누수·백태(시멘트가 녹아내리는 현상) 등이 나타났다.

 
도는 보수·보강 공사를 벌여 안전성을 확보한 뒤 업사이클링 사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1차 추가경정예산에 청풍교 보수 비용 28억원을 편성하기로 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하중을 견디는 데 문제는 없지만, 다리를 구성하는 재료가 낡았다는 게 용역 결과”라며 “결함이 있는 부분을 보수하면 보행교로써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충북도의원은 “도민 안전이 걸린 사안인 만큼 안전진단결과와 주민 의견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예산 반영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