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김문수 '김구 中국적' 발언 출처는 뉴라이트…사죄하라"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국회(임시회) 제6차 본회의에서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교육·사회·문화에 관한 대정부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국회(임시회) 제6차 본회의에서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교육·사회·문화에 관한 대정부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이지혜 더불어민주당 부대변인은 23일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김구 선생 중국 국적’ 발언의 출처가 뉴라이트 인사들이 퍼트린 날조된 가짜뉴스였다”며 “순국선열과 독립유공자 후손들에게 사죄하고 장관직에서 사퇴하라”고 했다.

이 부대변인은 이날 ‘김 장관은 독립운동의 역사를 왜곡하는 가짜뉴스를 당장 철회하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장관은 지난 1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일제 시대 김구 선생, 안중근 의사, 윤봉길 의사의 국적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안중근 의사는 조선 국적이고, 김구 선생은 중국 국적을 가졌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국사 학자들이 연구해 놓은 것이 있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이 부대변인은 “김 장관의 ‘김구 선생 중국 국적’ 발언의 출처가 확인됐다. 대한민국의 역사를 부정하는 뉴라이트 인사들이 퍼트린 날조된 가짜뉴스”라며 “사이비 학자들이 퍼트린 날조된 주장으로 독립운동의 역사를 폄훼하려 한 김 장관은 대한민국 국무위원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 부대변인은 “대한민국을 지켜낸 것은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이다. 이같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며 민족의 자긍심을 짓밟는 행태는 결코 묵과할 수 없다”며 “임시정부 주석으로, 조국의 독립에 일생을 바친 분을 ‘국적 논란’으로 조롱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국민의힘 대선주자가 아니라 현재 대한민국 국무위원 자격도 없다”며 김 장관의 장관직 사퇴를 재차 촉구했다.

국가보훈부도 김구 선생의 국적 논란과 관련해 “일제강점기 우리 국민의 국적은 한국이며, 김구 선생의 국적 역시 명백한 한국”이라는 정부의 공식 입장을 밝혔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지난 19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1965년 한일기본조약에 따라 1910년 8월 22일 및 그 이전의 대한제국과 대일본제국 간 체결된 조약 및 협정은 원천무효라는 것이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일제강점기 우리 국민의 국적은 한국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논란이 계속되는 상황이 안타깝다”며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임에도 독립의 중요한 가치가 폄훼되는 불필요한 논란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