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테무는 지난 21일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업데이트하고 이용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제3자에 한국 판매 파트너를 추가했다. 한국 제품을 직접 유통하는 ‘로컬투로컬(L2L)’ 사업을 시작하면서다. 한국 판매자에게 이용자 이름과 주소, 우편번호, 연락처 등의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다는 게 테무 측 설명이다.
그런데 이와 함께 테무가 그간 한국뿐 아니라 미국·싱가포르·일본·호주·인도네시아 등 6개 국가의 클라우드 서비스·물류·지불·광고 관련 27개 기업에 주소나 이름, 연락처 등 개인정보 처리를 위탁하고 있다는 사실이 추가로 알려지며 논란이 커졌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테무는 이런 개인정보를 이전하는 해외 위탁사 현황에 대해 계열사와 서비스 제공업체 등으로만 명시해 자세한 목록을 알긴 어려웠다. 테무는 “국외 이전을 거부할 경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라고도 적시했다.

테무 관련 이미지. 중앙포토
전문가들은 개인정보를 관리 감독할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21일 페이스북에 “해외 기업이 국내 데이터를 자유롭게 취득하고 무차별 활용하는 상황을 방치해선 안 된다”라며 정부에 대응을 촉구했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한국 내에서 정보를 수집·처리하면 당연히 한국 관련 법을 따라야 한다는 걸 분명히 업체에도 고지해야 한다”라며“애초 동의 때 목적과 달리 구매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 업체 측에 소명을 요구하고, 정부 당국간에도 관련 법령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테무는 슬로건으로 '억만장자처럼 쇼핑하라'고 내세운다. 테무 홈페이지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