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개발에 착수한 ‘전통시장 3D 입체 주소’의 예시 이미지. 사진 서울시
서울시는 올해 연말까지 ‘전통시장 3D 입체주소 지능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경동시장, 서울약령시장 등 건물형시장 2곳과 청량리전통시장, 청량리청과물시장 등 골목형시장 7곳에 위치한 상가 1400여곳(13만㎡)이 대상이다.
시는 각 점포와 시설에 ‘X·Y·Z’ 좌표를 활용한 3차원 입체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활용한 지도를 만들어 시민에게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사업과 함께 ‘전통시장 유형별 주소 부여 기준’도 마련할 계획이다. 기존처럼 전통시장을 하나의 주소로 통칭하는 것이 아니라 출입구를 기준으로 실내·외 위치별 상세 주소를 부여하는 게 핵심이다.
우선 전통시장을 공간구조에 따라 건물형, 골목형, 복합형으로 나눠 시장 내 점포 등의 위치와 소방안전, 대피보안, 전기가스안전 시설 등의 위치를 수집하는 기초조사를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한국국토정보공사와 협약을 체결하고, 청량리 전통시장 9개 상인회 및 동대문구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사업 방향과 추진 상황을 공유할 예정이다. 전통시장 주소 부여 기준을 마련하면 서울 시내 전통시장에 적용한 후 타 지자체로 확산할 계획이다.

입체주소 가상 이미지. 사진 서울시
최근 전통시장은 K-콘텐트를 체험할 수 있는 외국 관광객의 핫플레이스이자 ‘MZ’세대의 새로운 놀이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주소가 없거나 건물 내부 구획이 명확하지 않아 지도 앱만으로는 찾아가기 어려웠다. 또 응급 상황 발생 시에도 소방구급대가 전체 건물 주소나 대략적인 위치 정보만 확인할 수 있어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도 많았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첨단 3차원 고정밀 공간정보를 접목한 주소정보 구축과 활용모델 개발로 대한민국 전통시장의 주소체계를 변화시켜 시민 일상편의와 안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