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태평양 섬나라 원조 2배로…'원조 삭감' 美 공백 메운다

 

지난해 7월 서울에서 열린 한-호주 외교장관 회담을 위해 방한한 페니웡 호주 외교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7월 서울에서 열린 한-호주 외교장관 회담을 위해 방한한 페니웡 호주 외교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대외 원조를 대폭 삭감하는 가운데, 호주 정부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27일(현지시간) AP 통신과 현지 매체 ABC 뉴스 등에 따르면 호주 정부는 오는 7월 시작하는 다음 회계연도에서 전체 해외 개발 원조 예산 50억9700만 호주달러(약 4조7000억원)의 75%를 인도·태평양 지역에 배정했다. 이런 비율은 지난 40년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특히 중국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는 태평양 섬나라들에 대한 원조 규모를 21억5700만 호주달러(약 2조원)로 전년보다 5.2% 늘렸다.

호주 정부는 미국의 원조 중단으로 타격을 받는 태평양 섬나라 등의 보건, 교육, 기후, 난민 등 관련 사업을 지원할 방침이다.


호주는 이미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원조 축소로 타격을 입은 파푸아뉴기니·피지·필리핀의 에이즈(HIV) 관련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 500만 호주달러(약 46억원)를 지원하기도 했다.

페니 웡 호주 외무부 장관은 성명을 내고 "호주의 (해외) 개발 프로그램은 우리 지역의 안정·안보 보장에 핵심"이라면서 "이 불확실한 시기에 우리는 호주의 이익이 가장 크게 걸려 있는 태평양과 동남아시아에 호주의 개발 지원이 더 많이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태평양 섬나라들 대상 원조가 전체 원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2.3%로 10년 전의 거의 2배로 늘면서 호주는 이 지역 최대 지원국이 됐다.

호주의 이런 움직임은 중국이 태평양 섬나라들에 대한 인프라 투자 등 지원을 늘리면서 영향력을 키우는 데 대응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 지역 일부 국가는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커지면서 부채 압박에 시달리기도 한다.

남태평양 통가의 경우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미화 1억2000만 달러(약 1800억원) 규모의 중국 상대 부채 상환이 임박해 경제적 압박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호주는 통가 경제를 위해 앞으로 4년간 8500만 호주달러(약 786억원)를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