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현안 관련 경제관계장관간담회에서 추경 규모를 밝히면서 “여야가 필수 추경 취지에 동의해준다면 정부도 조속히 관계부처 협의 등을 진행해 추경안을 편성하고 국회에 제출하겠다”며 “4월 중 추경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여야의 초당적 협조를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 추경은 ▶재난ㆍ재해 대응 ▶통상 및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에 집중 편성된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현안 관련 경제관계장관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박 원내대변인은 당장 내일부터 양당 대표가 추경 협의에 나설지 묻는 말에 “그래야 한다고 본다”며 “(다만) 민주당이 이상 징후를 보여 상황은 지켜봐야 한다”고 답했다. 최 부총리가 국회 심사 과정이 무기한 연장될까 우려한 것을 두고는 “신속한 추경을 위해 여야가 협력해 심의의 방향 등을 선제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면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35조 규모 추경’을 주장해온 민주당은 혹평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같은 날 서면 브리핑에서 “정부가 제시한 10조라는 추경 규모가 당면한 위기 속에서 민생과 경제를 회복시키고 재난을 극복하는데 유의미한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당이 심각한 민생 위기를 극복하고 급변하는 통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추경을 요구한 지 3~4달이 지났다”며 “시간이 지연되는 동안 위기는 더욱 심화했고 초유의 산불 재난까지 더해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 수석대변인은 “추경을 뒷북 제출하면서 급하니 국회 심사 과정을 생략해 달라는 태도는 도저히 묵인할 수 없다”며 “민주당은 정부가 제출한 추경안이 추경의 목적에 부합하는지, 민생 경제 회복과 성장에 마중물이 될 수 있을지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했다.
한편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31일 여야 원내대표 회동을 갖고 추경 편성, 본회의 일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