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내년 선거 완패”…공화당도 과격한 트럼프 관세 걱정

"이대로 가다간 내년 중간선거에서 완패한다."  

미국 공화당 내에서 벌써부터 이런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현지 언론 보도가 나왔다. '트럼프발 관세 충격'에 미 증시가 폭락하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되면서 여론이 악화하고 있어서다.  

6일(현지시간) 의회전문매체 더힐에 따르면 일부 공화당 의원들은 이미 지역구에서 관세 문제로 압박을 받고 있다.  

테드 크루즈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 로이터=연합뉴스

테드 크루즈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 로이터=연합뉴스

 
제리 모런(캔자스) 상원의원은 "(내 지역구의) 유권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너무 많은 국가를 상대로 지나치게 공격적이라고 우려하고 있다"며 "특히 캔자스의 농민들은 보복 관세로 큰 피해를 볼까 걱정한다"고 밝혔다.  

친(親)트럼프 인사인 테드 크루즈(텍사스) 상원의원은 지난 4일 팟캐스트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경기침체를 초래할 경우 내년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완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런 관세가 계속 유지돼 미국에 보복 관세가 부과된다면 미 경제에 실질적인 피해를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리사 머카우스키(알래스카) 상원의원은 "지역구 유권자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상승을 매우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2년마다 하원 435명 전체, 상원(임기 6년) 100명 중 3분의 1을 뽑는 중간선거를 한다. 현재 미 상·하원 모두 공화당이 다수당이다. 지난해 11월 선거에선 인플레이션 등 조 바이든 정부에 대한 불만이 트럼프 정부를 탄생시키고, 공화당이 상·하원을 장악하는 원동력이 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그러나 트럼프의 과격한 관세 정책으로 시장 불안이 확산하면서 2026년 선거에서 표심이 이탈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이다. 상·하원 모두 민주당에 넘어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실제 관세 등 트럼프가 취임 후 강행한 정책들에 대한 불만으로 반(反)트럼프 시위가 미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다. 지난 5일엔 미 곳곳에서 트럼프 정부를 비판하는 시위가 열려 60만 명이 참가했다.  

 
행동에 나선 공화당 의원들도 있다. 앞서 공화당의 척 그래슬리(아이오와) 상원의원은 민주당의 마리아 캔트웰(워싱턴) 상원의원과 함께 대통령의 관세 부과 권한에 제동을 거는 법안을 발의했다. 대통령이 새로운 관세를 도입할 경우 의회가 60일 안에 이를 승인하도록 하고, 만약 승인하지 않으면 새 관세의 효력을 중단하도록 하는 게 골자다.

미 국회의사당.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미 공화당 내에선 내년 선거에 완패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AFP=연합뉴스

미 국회의사당.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미 공화당 내에선 내년 선거에 완패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 법안엔 공화당에선 머카우스키, 모런, 미치 매코널(켄터키), 톰 틸리스(노스캐롤라이나) 상원의원이 공동발의자로 참여했다. 돈 베이컨(네브래스카) 하원의원도 이 법안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한 공화당 전략가는 더힐에 "이 (관세로 인한 시장 불안) 문제가 너무 오래 이어져 사람들 마음에 굳어진다면, 이후 상황이 완화된다고 해도 공화당은 위험에 처하게 된다"며 "특히 내년 중간선거 때 단기적 고통이 있거나 인플레이션이 존재하면 공화당은 완패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이날 "공화당 의원들 사이에서 (트럼프의) 관세에 대한 저항은 향후 더 커질 수 있다"며 "공화당의 성패는 기본적으로 관세, 경제 상황과 맞물려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