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자동차 부품 관세 대응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며 대선 출마선언을 하고 있다. 뉴스1
김 지사는 이날 인천국제공항 출국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대로는 안 된다는 절박감으로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다”고 밝혔다. 김 지사의 이날 회견은 미국의 자동차 업계 관세 대응 일정을 위해 미국 미시간주로 출국하기 직전 이뤄졌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결선 투표제, 총선과 선거 주기를 맞추기 위한 대통령 임기 3년 단축” 등 개헌 사안을 공약했다. 대선 출마를 위해 같은 날 당 대표직을 사퇴한 이재명 전 대표는 “내란 종식이 먼저”(지난 7일)라며 개헌 논의를 유보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대선이 끝나고 대통령에 뽑히면 개헌 동력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며 “경선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이 대표도 함께 설득하고 참여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반대로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이날 불출마를 공식화했다. 김 전 총리는 페이스북에 “민주당 대선 경선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면서 “저는 이번 대통령 선거가 헌법 개정 등 제도 개혁의 전환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고 했다. 김 전 총리는 지난 7일 페이스북에도 “개헌과 내란 종식은 동전의 앞뒷면이다.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 대표의 ‘선(先) 내란종식, 후(後) 개헌론’을 반박했었다.

지난 1일 서울 송파구 아산병원 장례식장에서 김부겸 전 총리 부친상 조문을 마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김 전 총리와 대화하고 있다. 뉴스1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아직 출마 여부를 고심 중이다. 김 전 지사와 가까운 민주당 의원은 “(이재명 전 대표 일극 체제에서) 결과가 얼마나 참혹할지를 잘 알지 않겠느냐”며 “이 대표와 각을 세울 생각은 전혀 없지만, 당내에 다른 목소리도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라도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이 전 대표의 도전자들은 이번 경선에 적용될 ‘경선 룰’을 주목하고 있다. 민주당은 그간 공직후보자 선출에 국민경선 또는 국민참여경선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적용해 왔다. 지난 대선 경선 때 적용한 국민경선은 일정 기간 당비를 낸 권리당원과 새롭게 모집한 비(非)당원 선거인단에게 1인 1표가 주어진다. 지난 대선 예비경선(컷오프) 때는 권리당원 투표 50%와 ARS 여론조사 결과 50%를 합산하는 국민참여경선으로 후보를 확정했다.
일부 군소 후보 측은 “두 가지 방식 모두 당내 장악력이 압도적인 이 전 대표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하다”며 새롭게 선거인단을 모집하는 ‘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난 대선 경선 때 채택했던 국민경선 방식으로 후보를 선출하더라도 선거인단 모집 기간이 짧아 사실상 권리당원이 후보를 결정하게 된다는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