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기장군에 2014년 8월 조성된 해수담수화 시설. 조성된 지 11년째 가동되지 못한 이 시설에 대해 최근 부산시가 공업용수 생산 시설로 바꾸는 안을 발표했다. 사진 부산시
‘부산 기장 해양정수센터’라 불리는 이 시설은 본래 바닷물을 담수로 바꿔 주민에게 식수를 공급하려 지은 시설이다. 2014년 8월 공사가 끝났지만, 11년째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 이날 둘러본 시설의 저수조와 밸브 등 곳곳엔 녹슨 자국이 눈에 띄었다. 해수 담수화의 핵심 설비인 역삼투막 시설동 내부엔 포장도 뜯지 않은 고성능 필터 수십 상자 위로 먼지가 자욱했다. 가동된 적 없는 시설 곳곳에 붙은 ‘안전제일’ 표어가 무색하게 느껴졌다. 이 시설은 결국 하수처리수를 활용한 공업용수 생산 시설로 바뀐다.

9일 부산 기장군 해수담수화 시설의 핵심 설비인 역삼투압 시설동에서 부산시 상수도 본부 관계자가 이 설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민주 기자
“식수 대신 공업용수” 11년 만에 해법 나왔다
부산시가 시설 입지를 이곳으로 잡은 건 수질 환경 기준 항목 중 하나인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기준 1등급 판정을 받은 청정 해역이었기 때문이다. 화명정수장에서 30㎞ 넘게 떨어져 장거리 수송해야 하는 기장ㆍ송정 수돗물의 수질ㆍ공급 효율성 개선 효과도 기대됐다.

9일 부산 기장군 해수담수화시설의 역삼투압 설비동 내부에 포장도 뜯지 않은 고성능 필터 상자가 쌓여 있다. 김민주 기자
원전 가까운 시설, ‘후쿠시마 패닉’에 올스톱

9일 부산 기장군 해수담수화시설의 여과 설비. 설비 곳곳에 녹슨 흔적 등이 눈에 띈다. 김민주 기자
부산시는 수십 건의 안전성 검사 결과 등을 근거로 사업 추진이 문제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후쿠시마 패닉'과 결합한 '방사성 수돗물론'이 힘을 얻으며 결국 시범 공급 계획이 취소됐다. 2016년 3월 주민투표에선 89.3%가 시설에서 만들어진 수돗물 공급에 반대했다. 투표율 26.7%로 유효 투표율(33.3%)엔 못 미쳤지만, 공급 강행이 어려운 수준의 강한 반대 여론이 확인됐다.
이후 이 시설의 물을 원하는 가구나 공장에만 공급하고, 안전성 검사 결과에 따라 병입수로 만들어 관공서에 보급하려 한 시도는 경제성 등 문제로 모두 무산됐다. 2000억 가까이 들여 지은 시설이 11년째 가동되지 못한 이유다.

9일 부산 기장군 해수담수화 시설에. 바다 방향으로 망원경이 설치돼있지만 사용 흔적이 없다. 김민주 기자
“하루 3만5000t 공업용수, 동부산 산단 공급될 것”

9일 부산 기장군 해수화담수화 시설 야외에 잇는 저수조. 설비 곳곳에 녹슨 자국이 선명하다. 김민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