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조 들여 최신 GPU 1만장 확보 "엔비디아에 확인, 확보 문제 없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하기 위해 열린 임시 국무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하기 위해 열린 임시 국무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인공지능(AI) 생태계 혁신을 위한 1조8000억원 규모의 추가 예산을 18일 임시국무회의에서 심의한 추가경정예산안에 담았다. AI 추경 편성의 대부분(1조4600억원)은 H200·블랙웰 등 엔비디아의 최신 고성능 GPU(그래픽처리장치) 1만장을 사는 데 쓰인다. 

GPU 확보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국내 AI 컴퓨팅 성능은 2023년 말보다 7배 이상 향상된다. 김윤상 기획재정부 2차관은 “글로벌 AI 경쟁이 격화하면서 GPU를 조기 확보하지 않으면 경쟁에서 2~3년은 뒤처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커지고 있다”며 추경 편성 이유를 설명했다. 

당초 수요 폭증으로 엔비디아 최신형 모델을 대량으로 확보하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 많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여러 공식적인 통로로 엔비디아에 확인을 했고, 수량 확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답변을 받았다”며 “이번 추경에서는 우선 엔비디아의 H200과 차세대 버전인 B200 블랙웰 제품을 기준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GPU를 1만8000장 수준까지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 사업자를 선정해 슈퍼컴 6호기 구축 사업을 하게 되는데, 그 사업자가 8500장 규모의 GPU를 별도로 확보하게 될 것”이라며 “오는 11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에서는 2030년까지 퓨리오사AI나 리벨리온 같은 국산 AI 반도체도 사용할 예정이고, 그 비중을 50%까지 점차 늘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민간 기업들이 보유한 GPU 2600장을 AI 모델·서비스 개발사들이 빌려 쓰는 예산으로 1723억원을 편성했다. 이 가운데 2000장은 한국을 대표할 AI 모델·서비스 개발사를 뽑는 ‘월드 베스트 거대언어모델’(WBL) 프로젝트에 선정된 최대 5개 기업이 활용하게 된다. WBL 투입 예산은 1936억원으로 최대 3년간 GPU·데이터·인재 등 필요한 자원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재 확보·양성도 정부가 지원한다. AI 인재들이 겨루는 ‘글로벌 AI 챌린지’를 하반기에 개최한다.(100억원) 또한 해외 최고급 AI 연구자를 국내에 유치할 경우 3년간 최대 연 20억원을 지원하는 ‘AI 패스파인더 프로젝트’(가칭)도 올해 신규로 추진한다.(50억원)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이번 추경에서 ‘상생페이백’ ‘공공배달앱 할인’ 등 소상공인·취약계층을 위한 예산을 대거 반영(4조3000억원)한 것도 눈에 띈다. 우선 연 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 311만명에게 최대 50만원의 크레딧을 제공하는 신규 사업에 1조6000억원이 투입된다. 크레딧은 전기·가스·수도요금 등 공과금과 보험료에 쓸 수 있다.

1조4000억원을 반영한 ‘상생페이백’ 제도를 도입해, 연 매출 30억원 이하 사업자에게 사용한 카드 소비액이 전년보다 늘어날 경우 증가분의 20%를 30만원 한도로 환급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상공인의 매출에 기여하고 배달 수수료 부담을 덜기 위해 공공배달앱 이용 시 할인 제도를 도입한다. 공공 배달앱에서 2만원 이상 3번 주문 시 1만원 할인을 지원하는 식이다. 김동일 기재부 예산실장은 “과점 상태인 배달앱 시장에 대안을 제공하자는 취지”라며 “일반 배달앱과 공공배달앱 간 수수료 비용 차이가 22%가량 되는데 이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