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공중진화대 소속 대원들이 지난달 21일 경남 산청군 산불 현장에서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중앙포토
산림청은 동해안과 영남지역 등과 같은 대형산불 취약지역에 산불진화 임도를 우선 설치할 계획이다. 숲이 울창하고 산세도 험해 작은 불이 대형산불로 번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산림청은 임도 효과가 그동안 여러 산불에서 분명하게 확인됐다면서 구체적인 사례도 제시했다. 2022년 발생한 울진 산불에서는 산불진화 임도를 활용해 진화 인력과 장비가 현장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었고, 산불진화 헬기를 운영할 수 없는 야간에도 진화작업을 계속할 수 있었다. 이 덕분에 임도가 금강송 숲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산림청은 전했다.
2022년 밀양 산불 피해 정도를 살펴보면 임도가 설치된 북서쪽 지역의 피해는 크지 않았지만, 임도가 없는 중앙부나 남쪽 지역은 피해가 더 넓고 피해 정도가 컸던 걸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지난달 21일 발생한 경남 산청·하동 산불에서도 임도가 적은 지역은 산불진화에 214시간이 소요됐으나, 일주일 뒤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하동산불은 임도가 상대적으로 많아 24시간 이내에 진화할 수 있었다고 산림청은 전했다.

밀양 산불피해 등급도
하지만 그동안 환경단체 반발과 예산 부족 등으로 임도가 충분히 개설되지 못했다. 또 경상도 산림의 90%는 개인 소유여서 임도 개설에 장애물이란 지적도 나온다. 임도 개설비 가운데 10%를 산 주인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박은식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작은 불씨가 대형산불로 이어지지 않도록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초기에 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임도를 계속 확충해 산불 대응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