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모습. 한 대행은 이번주 중 대선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 국무총리실
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한·미 조선 협력은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비슷한 시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한국을 찾는 것도 변수다. 그래서 일각에선 "내달 3일 최종 후보가 결정되는 국민의힘 경선 추이를 지켜본 뒤 출마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한 대행이 대선에 나서려면 공직선거법상 대선 한 달 전인 다음 달 4일까지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
다만 시기가 늦춰질 뿐 대선 출마에 대한 한 대행의 결심은 이미 섰다고 한 대행 측 인사들은 강조했다. 한 대행 측 관계자는 “한 대행은 지금까지 민주당이 추진한 정책을 고려할 때 민주당 정부가 현 위기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27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수도권, 강원, 제주 합동연설회에서 정견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이 후보는 이날 압도적 격차로 다른 후보들을 따돌리며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됐다. 임현동 기자
개헌과 함께 트럼프 행정부와의 한·미 관세 협상을 마무리 짓고, 마이너스 성장에 직면한 경제를 정상 궤도로 올려놓는 ‘관리형 대통령’ 역할을 한 뒤 차기 정부로 정권을 이양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마다치 않겠다는 취지다.
이런 시나리오에선 내년 6월 개헌 국민투표와 대통령 및 지방 선거를 동시에 실시하고, 한 대행은 선거 60일 전에 사퇴 의사를 밝히면 된다. 윤 전 대통령 재임 시 ‘1년 임기 단축 개헌’ 방안으로 거론됐던 안이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중엔 한동훈 후보가 4년 중임제로 개헌하고, 차기 대통령은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해 2028년 총선과 대선을 함께 치르는 ‘3년 임기 단축 개헌’을 제시했다.

정대철 헌정회장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새미래민주당, 개헌연대 국민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