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왼쪽 다섯 번째) 등 참석자들이 28일 오후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에서 'K-반도체' AI메모리반도체 기업 간담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정부가 매년 반도체 산업에 5조5000억원을 지원하면 국내총생산(GDP)이 매년 7조2000억원 이상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회 의원연구단체인 ‘국가미래비전포럼’, 한국경제학회와 공동으로 개최한 ‘한국형 반도체 지원정책의 방향과 과제’ 토론회에서다.
이재명은 ‘보완’, 전문가들은 ‘집중’…상반된 반도체 전략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한국형 반도체 지원정책의 방향과 과제 토론회'에서 김덕파 고려대학교 교수가 ‘반도체 산업 현황 및 정책’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하고 있다. 사진 대한상공회의소
이날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도 반도체 관련 공약을 발표했는데, 기존 정책에 대한 ‘보완’에 방점이 찍혔다. 이 후보는 “우리나라가 강점을 지닌 메모리 반도체뿐만 아니라 시스템반도체 및 파운드리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구개발(R&D) 지원과 반도체 대학원 등 고급 인력 양성 인프라를 조기에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김 교수는 “경쟁력 있는 분야를 집중 지원하는 것이 효율적인 정책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시스템 반도체를 장악한 세계 최강국들과의 경쟁에서 한국이 이길 수 있을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경제 안보 측면에서도 글로벌 가치 사슬 내 대체 불가한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서 메모리 반도체에 집중 지원하는 것이 현실적인 전략”이라고 말했다.
세액공제론 한계 뚜렷…“직접 보조금 필수”

28일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한국형 반도체 지원정책의 방향과 과제' 토론회. 왼쪽부터 고종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략기획실장, 김창욱 BCG MD파트너, 김진영 고려대 교수, 이규봉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과 과장, 최재혁 서울대 교수. 이가람 기자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김창욱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매니징디렉터(MD) 파트너는 “1등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낙오할 수밖에 없는 반도체 산업에서 살아남기 위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매년 10조~20조원을 투자해야 한다”며 “세액공제만으로는 과감한 투자 결정을 이끌기 어려운 만큼 대기업 특혜라는 인식을 넘어 직접 보조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덕파 교수는 “설비투자에 대한 지원은 직접 보조금 방식의 지원이 바람직하다”며 “투자로 인한 기업 수익의 일부를 미국처럼 정부가 공유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보조금에 따른 투자 수익이 일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 일부를 환수하는 ‘상단 공유’(upside sharing) 방식을 시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