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준비하는 20대 ‘AI 쓰는 방법’
경제+
인공지능(AI)이 내주는 퀴즈로 취업준비에 필수인 직무분석에 대비하고, 면접에 자신없다면 챗GPT를 ‘압박 면접관’으로 변신시킨다. 취업 준비할 때 AI 안 쓰는 사람보다 쓰는 사람이 더 많은 시대. 20대 구직자 중 69.9%(전체 구직자 중에선 39.6%)가 AI를 활용한다(사람인 설문조사). 하지만 같은 AI라도 어떻게 쓰는지에 따라 결과는 천지차이다. 분량 조절이나 맞춤법 교정 같은 단순한 일만 시키거나 자기소개서를 통째로 맡겨버리는 건 하수. 고수로 통하는 요즘 20대 취업준비생들이 AI 쓰는 방법, 속속 들여다봤다. 자소서 쓰는 게 20대만의 일이라고? 요즘 구직시장의 대세는 경력직 채용. 시간이 부족한 경력직일수록 이직할 때 똑똑하게 AI를 활용하는 건 필수다.
본인 경험 알린 뒤 “기억해둬”…AI와 함께 ‘취업 스터디’ 가능

구직자 10명 중 4명은 AI 활용해 취업 준비
◆‘만능 자소서’로 취준하기=이제 AI에 요약, 말투 바꾸기 등은 너무 쉬운 일이다. AI를 활용해 만능 자소서를 만들어보자. 기초가 되는 경험 기술서에는 지금까지 해왔던 의미있는 경험, 공부한 내용과 과정 등을 최대한 자세하게 적는다. 자기소개서는 회사마다 질문도, 양식도, 글자 수도 모두 다르다. 지원하려는 회사의 질문지와 조건을 입력하고 앞서 작성했던 경력 기술서를 업로드한 뒤, ‘OO회사 인턴 경험을 바탕으로 지원 동기를 작성해줘. 특히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강조해 줘’ 등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자기소개서를 받아볼 수 있다.
AI를 ‘압박 면접관’으로 활용…자소서·면접 허점 미리 메워
피드백이 필요하다면 채용에 특화돼있는 채용 플랫폼들의 AI를 이용할 수 있다. 사람인·원티드랩 등은 AI 자기소개서 초안 작성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자기소개서를 작성한 후 피드백을 받아보면 좋다. 사람인의 ‘AI 자소서 코칭’, 원티드랩의 서비스 등을 이용하면 ‘애매한 표현보단 구체적인 수치를 사용하라’ 등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면접이 긴장된다면=AI에게 역할을 부여하는 건 이제 상식이 됐다. 자기소개서를 AI에 입력해 놓고 ‘넌 이 자기소개서를 보고 있는 면접관이야. 이 자기소개서를 보고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으면 물어봐 줘’ 같은 지시를 내리면 된다. 기자가 입사 당시 제출한 자기소개서를 입력하니 학보사 활동에 대해 ‘작성했던 기사의 주제와 취재 난이도 등 구체적인 설명을 해달라’ 같은 예시 질문을 내놓았다.

김주원 기자
매력적 PPT 슬라이드 뚝딱…AI, 발표면접 준비 때도 위력
요즘엔 발표 면접이 진행되는 경우도 많다. AI는 센스 만점 양식도 만들어 줄 수 있어, 디자인을 잘 몰라도 대비할 수 있다. 발표 양식을 만들려면 일단 회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받은 CI 로고와 공식 색상을 파일로 챗GPT에 업로드한다. 그리고 ‘이 요소를 토대로 OO 회사 면접 발표용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를 만들어 줘’라고 요청하면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탬플릿이 금세 만들어진다. 다만 이렇게 요청한다고 해서 한 번에 완벽한 디자인이 나오는 건 아니다. 로고 이미지를 그대로 복사, 붙여넣기하거나 로고 위치가 이상하게 들어갈 때도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 ‘기업 로고는 누끼를 따서(배경을 지워서) 삽입해 줘’ 같은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적절하게 수정해 준다.
◆이런 점은 주의할 것=앞서 소개한 채용 플랫폼들의 자기소개서 작성·첨삭 서비스들은 개인정보를 비식별화 처리한 후 서비스 개선에 활용할 수 있게 돼 있다. 이를 원치 않는다면 챗GPT 같은 AI 서비스를 활용하되 입력한 내용이 학습에 이용되는 설정을 끈 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챗GPT의 경우 로그인 후 오른쪽 상단 프로필 사진 클릭→데이터 제어→모두를 위한 모델 개선→비활성화 버튼을 누르면 나와의 대화를 학습하지 못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혁신의 최전선에서 비즈니스의 미래를 봅니다. 첨단 산업의 '미래검증 보고서' 더중플에서 더 빨리 확인하세요.

https://www.joongang.co.kr/pdf/1012
“베꼈지?” 챗GPT킬러도 떴다…취업 광탈 막을 자소서 치트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320
“지브리 열풍? 또 큰 거 온다” 한국에 놀란 오픈AI의 스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87
“연비 올려” 비서실장의 지시…AI 비서들 ‘단톡방’까지 팠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