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9일 진화된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이 재발화한 가운데 30일 오후 북구 학정동에서 함지산 산불이 관측되고 있다. 연합뉴스
산림청 관계자는 이날 오전 “열화상 카메라상 확인되는 화선이 모두 사라졌다”며 “뒷불 감시 체제로 전환한다”고 말했다.
인력 1109명 투입해 밤샘 진화
한때 2.2㎞까지 형성됐던 화선은 이날 오전 4시30분 기준 약 500m까지 줄었고 오전 8시를 전후해 모두 정리됐다. 오전 7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310㏊로 최초 주불 진화 선언 때보다 50㏊가량 피해가 늘었다.

23시간 만에 진화됐다가 잔불 정리 중 재발화해 확산했던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이 다시 진화 완료된 가운데 1일 현장에서 진화헬기가 잔불 정리 및 뒷불 대비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지난달 28일 오후 2시 1분쯤 시작한 함지산 산불은 23시간에 걸친 진화 작업 끝에 산림 260㏊를 태우고 29일 오후 1시쯤 주불이 잡혔다. 하지만 진화 완료 선언 6시간 만인 오후 7시31분 백련사 방면 7부 능선에서 30m가량 불띠가 형성되며 재발화했다. 다시 살아난 불은 강한 바람을 타고 확산했다.
이틀 만에 다시 대피한 주민들
대구 북구 관계자는 “낙엽이 불을 머금고 있어 계속해서 잔불이 되살아나고 있다”며 “오후에 비가 내리고 일주일 정도 잔불 정리 작업을 해야 완전히 진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대구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이틀 만에 진화됐다가 일부에서 재발화하며 확산한 가운데 지난달 30일 오후 11시 40분께까지 산불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오후에는 비 소식이 있어 잔불 정리에 속도가 날 전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대구와 강원 동해안, 경북 중남부내륙, 경북 동해안에 5~10㎜의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산림당국은 이날 오전 5시 30분부터 헬기 34대와 인력 753명을 투입해 잔불 정리를 진행 중이다.
산불이 진화되면서 최초 발화 경위에 대한 조사도 본격화됐다. 하지만 원인 규명은 난항이 예상된다. 산불 최초 발화지로 지목된 장소는 산불 진화 과정에 공중에서 헬기가 투하한 진화 용수와 지상 진화대원들의 흔적 등으로 기존 모습이 상당 부분 훼손됐다.
또 폐쇄회로TV(CCTV)도 마을 초입에만 있어 산불 용의자 특정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산림당국에 따르면 산불 관련해 용의자를 목격했다는 신고도 아직 접수된 게 없다.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사업 과정에서 산 곳곳에 쌓여있는 소나무 더미도 최초 발화와 재발화 원인 규명을 방해하는 요소다.

대구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이틀 만에 진화됐다가 일부에서 재발화한 가운데 지난달 30일 대구 북구 노곡동 최초발화지 현장에서 산림청, 경찰, 소방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현장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인 규명 난항…대구시 “철저 조사”
대구시 관계자는 “농로를 타고 좁은 산길을 들어가는 것까지 공무원을 배치해 감시하는 건 여건상 어렵다”며 “만약 산불 용의자가 검거되면 입산 통제 구역에 들어간 것이기 때문에 과태료 처분 등 처벌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