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젊은데 합병증 어쩌나…당뇨병 걸린 20ㆍ30세대, 10년새 2배↑

기름지고 짠 음식을 자주 섭취하면 내장지방이 늘어나 비만, 당뇨병 등 대사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셔터스톡

기름지고 짠 음식을 자주 섭취하면 내장지방이 늘어나 비만, 당뇨병 등 대사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셔터스톡

 
최근 10년 사이 20~30대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2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은 잘 관리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개인의 주의뿐 아니라 사회적 차원의 예방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대한당뇨병학회 학술지에 최근 게재된 ‘한국 2형 당뇨병 젊은 성인의 유병률, 발생률 및 대사 특성(2010~2020)’ 연구논문에 따르면, 국내 19~29세 성인의 2형 당뇨병 유병률은 2010년 1.02%에서 2020년 2.02%로 증가했다. 2020년 기준 2형 당뇨병을 앓는 20~30대는 약 37만명에 달했다. 특히 30대 유병률은 2010년 2.09%에서 2020년 3.9%로 증가했다.

당뇨병은 혈액 속 포도당(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작용하지 않아 생기는 질환이다. 1형·2형 등으로 나뉘는데, 주로 성인기에 발병하고 한국인의 당뇨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게 2형이다. 내장지방이 축적되면 인슐린 저항성(인슐린 기능이 떨어진 상태)이 높아지기 때문에, 비만과 2형 당뇨병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번 연구 결과에서도 젊은 2형 당뇨병 환자 대부분이 비만을 동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당뇨 환자의 67.8%가 비만(체질량지수 25kg/㎡ 이상)이었고, 31.6%는 고도비만(체질량지수 30kg/㎡ 이상)에 해당했다. 고혈압(34.2%), 이상지질혈증(79.8%), 지방간(78.9%) 등 다양한 대사 질환도 동반했다.

지난달 30일 강원 강릉시 경포호수 일원에서 주민들이 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30일 강원 강릉시 경포호수 일원에서 주민들이 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도 늘어나는 추세다. 젊은 환자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건 심부전이었고, 만성신부전증(말기 신장 질환),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등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으로 인해 고혈당 상태가 오래 유지되면, 혈관들이 망가지고 염증이 유발되면서 눈, 신장(콩팥), 심장 등 신체 곳곳에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이 당뇨병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생활 습관 등을 관리해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오상우 동국대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당뇨병을 방치하고 몇 년 끌다가는 되돌리지 못하고 평생 약으로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약을 먹더라도 합병증을 100% 막을 수 있다는 보장은 없다”고 설명했다. 

오 교수는 “다만 40~50대와 비교하면 20~30대는 당뇨병 바로 전 단계일지라도 생활 습관 개선에 힘쓰면 충분히 되돌릴 수 있으므로 신호가 왔을 때 건강하게 먹고, 운동하고, 잠자는 습관에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면과 운동이 부족하고, 세 끼를 제대로 챙겨 먹지 못하는 등 비만과 당뇨를 유발하는 생활습관이 10대 때부터 쭉 이어지고 있다”며 “젊은 당뇨병 환자를 줄이려면 사회 환경과 문화를 바꾸는 범부처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