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S&P500 관세전쟁 이전 수준 회복… 9거래일 연속 상승

뉴욕 증시의 증권 거래인이 2일(현지시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뉴욕 증시의 증권 거래인이 2일(현지시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미국의 일자리가 양호한 증가세를 보이며 2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강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보다 564.47포인트(1.39%) 오른 4만1317.4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82.54포인트(1.47%) 오른 5686.6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66.99포인트(1.51%) 오른 1만7977.73에 각각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500 지수는 이날로 9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S&P500 지수가 9거래일 연속 상승한 것은 2004년 11월 이후 약 20년 만이다.

S&P500 지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뉴욕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하기 직전인 4월 2일 종가 기준 5670.97 수준을 회복했다.

4월 고용 증가 폭이 시장 기대를 웃돌며 미중 관세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것이 주요 지수를 끌어올렸다.


미 노동부는 이날 4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17만7000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문가 전망치와 최근 12개월 평균 증가폭인 15만2000명을 모두 웃도는 수치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경기 침체를 촉발할 것이란 우려에도 불구하고 고용 증가세가 유지되며 침체에 대한 걱정을 덜어냈다.

웰스컨설팅 그룹의 탤리 레저 최고 시장전략가는 "관세 발표 직후 주간에 고용지표 조사가 이뤄졌기 때문에 더 급격한 증가 폭 둔화를 예상했다"며 "시장은 이날 지표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미국의 대화 제안에 대해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혀 관세 협상 재개 가능성을 열어뒀다. 다만 대변인은 "미국 측이 대화하고 싶다면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고 일방적인 관세 부과를 철회하는 등 성의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애플은 관세 정책에 따른 1조원 이상의 추가 비용 발생 우려로 이날 8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마감하고 3.74% 하락했다. 장중 낙폭이 5%를 넘으며 한때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마이크로소프트(2.32%)에 내주기도 했다.

엔비디아(2.59%), 메타(4.34%), 알파벳(1.69%), 테슬라(2.38%) 등 주요 빅테크는 강세를 보였다.

그레이트힐 캐피털의 토마스 헤이스 회장은 "오늘의 시장은 경제가 사람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강하고 관세에 대한 두려움에 직면해서도 훨씬 더 탄력적이라는 것을 말해준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