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사에 200번 물려준 50대男…몸 바쳐 '만능 해독제' 길 열었다

뱀. 로이터=연합뉴스

뱀.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에서 뱀에 200번 물린 남성의 피를 이용해 만능 해독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전직 트럭 정비사였던 팀 프리드(57)는 뱀독에 대한 면역력을 키우기 위해 18년간 코브라, 블랙맘바, 타이판 등 치명적인 독사에게 200차례 이상 일부러 물렸다. 또 700회 이상 뱀독을 추출해 몸에 스스로 주입했다. 

그는 초기에 코브라 두마리에게 잇따라 물려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했다. 하지만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되겠다는 일념으로 이런 '실험'을 지속하며 길고도 고통스러운 그 과정을 유튜브 영상으로 남겼다. 

미국 생명공학회사 센티백스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는 팀 프리드. 사진 센티백스

미국 생명공학회사 센티백스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는 팀 프리드. 사진 센티백스

 
프리드의 사연을 알게 된 미국 생명공학회사 센티백스의 최고경영자(CEO) 제이컵 글랜빌 박사는 곧바로 그에게 연락을 취했다. 프리드의 피가 항체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글랜빌 박사는 여러 종류의 뱀독에 효과가 있는 '광범위 중화항체'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뱀의 독은 종마다 달라 해독제도 모두 달라져야 하지만, 모든 뱀독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부분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광범위하게 쓰일 수 있는 해독제를 개발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글랜빌의 연구팀은 프리드의 혈액에서 추출한 항체가 다양한 종류의 독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가장 치명적인 뱀으로 분류되는 코브라과의 엘라피드 19종을 고른 뒤 쥐를 대상으로 프리드의 혈액으로 만든 해독제를 시험했다. 그 결과 13종에서 완벽한 해독 효과를 나타냈고, 나머지 6종에서도 부분적인 해독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글랜빌 박사는 "전례 없는 효과"라며 "현재 해독제가 없는 엘라피드의 독에도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해독제가 상용화되려면 아직 더 많은 연구와 실험을 거쳐야 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Cell)에 발표됐다.  

프리드는 "인류에게 좋은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BBC에 따르면 독사에 물려서 숨지는 이들은 한해 14만명에 달하고 그보다 3배나 많은 이들이 팔다리 절단과 같은 장애를 안는 것으로 추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