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호의 사자성어와 만인보] 태평성세(太平盛世)와 장택단(張擇端)

인공지능(AI)에게 ‘난세(亂世)’의 반대말을 질문하면, 두 글자로는 ‘치세(治世)’라고 답한다.

태평성세(太平盛世). 바이두

태평성세(太平盛世). 바이두

이번 사자성어는 태평성세(太平盛世. 클 태, 평평할 평, 성할 성, 세상 세)다. 앞 두 글자 ‘태평’은 ‘지극히 평화롭다’란 뜻이다. ‘성세’는 ‘대단히 번성한 시절’이란 뜻이다. 이 두 부분을 합치면, 요즘 기준으론 ‘공동체 구성원의 삶이 화기애애하고, 정치도 제 기능을 매끄럽게 해내는 평화롭고 풍족한 시기’라는 의미가 성립한다. ‘국태민안(國泰民安)’, ‘천하태평(天下太平)’ 등이 동의어다.

송(宋)나라 풍속화가 장택단(張擇端)은 휘종(徽宗. 1082~1135)의 명을 받아, 두루마리 비단에 불후의 대작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를 그렸다. 북송(北宋) 수도였던 지금의 카이펑(開封) 외곽 청명(淸明)절 자연 풍광이 좌우로 길게 전개되는 파노라마 화폭에 빼곡히 담겨있다. 수백 명 이상의 인물들의 활력 넘치는 일상도 함께 그려져 있다. 중국에서 가장 귀한 대접을 받는 회화 작품이고, 현재 베이징 고궁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장택단(張擇端). 바이두

장택단(張擇端). 바이두

‘청명상하도’라는 제목에서 ‘청명’을 ‘청명성세(淸明盛世)’, 즉 정치의 청명으로 보는 전문가들도 많다. 만약 이 관점으로 감상하면, 그림 속 인물들의 표정과 동작 하나하나에 더 눈길이 오래 머문다.

장택단은 산둥(山東)성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그림을 배웠고, 차츰 실력을 인정받아 도화원(圖畵院) 소속의 궁정 화가가 됐다. 마차와 배, 시장과 길, 다리, 성곽 등을 탁월하게 묘사했다. 그의 화풍은 세밀하고 정교한 묘사를 특징으로 하는 공필화(工筆畵)에 속한다.


장택단은 ‘청명상하도’에 중국화에서 자주 발견되는 ‘산점(散點) 투시법’을 사용했다. 서양화의 ‘일점(一點) 투시법’과 달리, 한 그림의 각 부분에 복수의 시점을 적용하는 원근법이다. ‘청명상하도’ 안에 묘사된 개울, 성곽, 무지개다리, 시장 등 여러 장면이 따로 독립된 페이지의 옴니버스 이야기처럼 입체적으로 다가오는 이유다.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바이두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바이두

명나라의 왕맹단(王孟端)은 ‘서화전습록(書畵傳習錄)’에 장택단이 ‘계화(界畵)에 능했고, 배, 마차, 다리, 성곽, 거리 등을 자주 그렸으며, 일가를 이뤘다’고 평했다. ‘계화’는 자(尺)를 활용해 매우 세밀하게 그리는 기법이다. 세로 길이는 30cm 미만이지만 가로 길이가 무려 5m 이상인 ‘청명상하도’에, 3.3cm도 안 되게 표현된 인물이 다수 등장한다. 심지어 콩 한 알 크기로 그려진 인물도 있다. 그러나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 하나하나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다. 그가 ‘계화’ 기법까지 동원해 정교하게 묘사했기 때문이다.

카이펑(開封). 바이두

카이펑(開封). 바이두

사실, 장택단이 ‘청명상하도’를 그리며 왕성하게 활동하던 시기는 ‘태평성세’와 거리가 멀었다. 당시 북송의 수도 카이펑이 겉은 화려했으나 속은 마치 중병에 걸린 환자와 같았다. 장택단은 살아생전에 금나라의 침략을 받고 멸망하는 조국을 무력하게 지켜봐야 했다. 당연히 그의 인생도 평탄하지 못했다. 안정적인 도화원 생활을 중도에 그만둬야 했고, 말년엔 그림을 팔아 생계를 유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시대마다 여러 소장가의 손을 거쳤지만, 최근 과학이 발전해 ‘청명상하도’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최종 결론이 나왔다. 다만, 진품의 완성 시기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 여전히 의견들이 팽팽히 대립하고 있다. 여기엔 북송 멸망 후, 카이펑의 화창한 봄날을 그리워하며 이 대작을 최종 완성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포함된다. 평소에는 태평성세의 소중함을 모르다가, 난세를 경험하고서야 비로소 그 소중함을 알게 된다는 역사의 아이러니에 힘이 실린 입장이다.

우리가 과거 동서양 여러 문명을 떠올려보면, 부침엔 나름 일정한 법칙이 존재하는 것 같다는 생각을 떨쳐 버리기 어렵다. 대표적인 예로, 치세에 난세를 대비하는 일이 그 실행은 어렵지 않으나 묘하게 합심하여 결단하기가 쉽지 않고, 난세에 치세를 그리워하며 눈물을 훔치는 일은 굳이 결단하지 않아도 저절로 실행된다.

아이러니의 반복이지만, 한편으로 이 불가사의한 힘에 기대어 매번 또 한 번의 소위 ‘태평성세’가 시작되기도 한다.

더차이나칼럼

더차이나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