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얀트리' 화재에 동물도 죽게 생겼다?…손걷은 부산시, 무슨 일?

2014년 4월 재개장 당시 삼정더파크 동물원 내 동물들이 먹이를 먹고 있는 모습. 사진 중앙포토.

2014년 4월 재개장 당시 삼정더파크 동물원 내 동물들이 먹이를 먹고 있는 모습. 사진 중앙포토.

지난 2월 6명이 숨진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로 시공사인 삼정기업이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부산 유일의 동물원인 자회사인 ‘삼정더파크’도 경영 위기에 빠졌다. 동물원에 있는 동물들의 먹이 공급에 차질을 빚자 부산시가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부산시 1억6000만원 들여 올해 9월까지 동물 먹이 지원 

18일 부산시에 따르면 이달 말부터 9월까지 예비비 1억6000만원을 들여 삼정더파크 동물에게 먹이를 공급한다. 삼정더파크에는 지난해 12월 기준 121종 484마리 동물이 있다. 한 달 먹이값만 35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시는 건초·과일·야채·육류·사료 등 먹이를 직접 구매해 지원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인도적 차원에서 예비비로 동물 먹이를 공급하기로 했다”며 “오는 9월 삼정기업이 신청한 기업회생 계획이 승인되면 먹이 지원을 중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먹이 공급 차질 문제는 지난 2월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로 삼정더파크 실소유주인 삼정기업이 회생 절차에 들어가면서 예견된 상황이었다. 삼정기업의 최고 결정권자인 박모 회장과 아들이 지난 4월 4일 구속되면서 삼정더파크에 대한 정상적인 대금 지급이 어려워졌다.  

동물 관리와 인건비로 만만치 않은 비용이 나가고 있는 삼정더파크는 돈줄이 막히자 지난 4월 말 부산시에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정더파크는 지난해 기준 동물 먹이값으로 4억여원, 인건비 4억여원 등 연간 14억여원을 썼다. 게다가 삼정더파크는 2020년 4월부터 휴업 중이라 입장권 수입 등 수익이 전무한 상황이다.  


삼정기업 2014년 동물원 개장 후 6년만에 중단…매각 소송 중

삼정기업은 부산시와 협약을 맺고 2014년 4월 삼정더파크를 개장해 운영했지만 적자 운영으로 6년 만에 휴업에 돌입했다. 삼정기업은 부산시와 2012년 체결한 ‘동물원 정상화를 위한 협약’을 근거로 부산시에 동물원을 500억원에 사들여 달라고 요청했지만, 부산시는 거부했다. 매입 대상 부지에 민간인 땅 등 사법적인 권리가 개입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삼정기업은 부산시를 상대로 매매대금 지급 청구 소송을 제기했지만 1심에서 패소했다. 항소했지만 2심 재판부도 부산시의 손을 들어줬다. 삼정기업은 2023년 1월 대법원에 상고했지만 2년째 계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