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1대 대통령선거 재외투표 첫날인 20일 일본 도쿄 미나토구 주일한국대사관에 마련된 재외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기표소에 들어가 기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선거권을 가진 일본 거주 재외동포는 지난해 4월 기준 41만1043명으로, 이 가운데 재외국민 투표를 신청한 등록인수는 3만8600명이다. 이날 박철희 주일 대사는 “한·일 관계가 지금까지 획기적으로 개선됐기에 이 부분이 유지 발전될 수 있게 차기 대통령도 노력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이중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 단장도 이날 투표를 마친 뒤 “아침부터 많은 분들이 나와서 투표했다”며 “하루 빨리 좋은 대한민국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일본에 이어 중국에서도 한 시간 간격으로 재외투표가 시작됐다. 중국에서 재외국민 투표를 신청한 등록인수는 2만5154명이다. 투표소는 베이징과 상하이, 칭다오 등 10곳에 마련됐다. 이날 투표장을 찾은 베이징대 유학생 양다연씨는 “청년의 입장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생각하며 투표했다”며 “차기 대통령은 갈등보다 미래를 생각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교민 최순영씨는 “소원해진 중국과 관계를 회복해 교민들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주기 바란다”고 했다.
총 유권자 25만8254명…미국 가장 많아
올해 재외선고에 참여하는 유권자 수는 재외선거인 2만8723명, 국외부재자 22만5931명 등 총 25만8254명이다. 이는 2022년 제20대 대선(22만6162명)과 비교해 14.2% 증가한 수치이며, 2017년 제19대 대선(29만4633명)에 비해서는 12.3% 감소한 규모다. 25만8254명의 재외선거 유권자를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 내 유권자 수가 5만3377명으로 가장 많다.

제21대 대통령선거 재외국민 투표를 하루 앞둔 1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16구 주프랑스한국대사관 내 재외투표소에서 선관위 선거관이 투표 사무원들을 대상으로 재외투표 관리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뉴스1
재외투표에 참여하려면 주민등록증이나 여권 등 관공서나 공공기관이 발행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특히 재외선거인은 신분증 외에 비자나 영주권증명서 등 재외투표관리관(공관장)이 공고한 국적확인서류 원본을 소지해야 한다. 투표 절차는 신분 확인 후 투표용지와 회송용 봉투를 받은 뒤 기표소에서 지지하는 후보 한 명을 택해 기표하고, 투표용지를 회송용 봉투에 넣고 밀봉한 상태에서 투표함에 넣는 순으로 진행된다. 유권자는 투표용지를 받은 뒤에는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이 금지되며, 투표용지를 훼손해서도 안 된다.
‘실질적 참정권 보장 한계’ 논란
재외선거는 2007년 6월 “거주 지역에 따라 투표권을 제한하는 것은 헌법에 어긋난다”는 헌재 결정을 계기로 도입돼 2012년 19대 총선부터 실시됐다. 그러나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를 위한 편의 증대보다 선거 관리적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실질적 참정권 보장에 한계가 있다는 논란이 그간 거듭돼 왔다.

지난 1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공관 재외선거 담당자 투표관리 교육'에서 참석자들이 재외투표용지 발급기 운영 실습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인 사회에서는 우편투표나 온라인 투표 도입을 요구해 왔지만, 선관위 측은 대리투표·허위신고 등 부정선거 우려를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주요 정당들도 재외선거 참여를 강조하면서도 정치적 셈법의 차이로 선거법 개정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여 왔다.
2020년 4월 총선 때 코로나19 사태로 재외공관 선거사무가 중단되자 각국 재외국민 유권자들이 참정권 보장 확대를 요구하며 만든 ‘재외국민유권자연대’는 이번 대선 재외선거에서 투표 여건 실상을 파악한 뒤 국회에 선거법 개정을 청원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