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준홍 기자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 안정을 위한 대책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0.9%는 ‘물가 안정’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지목했다고 20일 밝혔다.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순으로 해결이 시급하다고 답했다.
물가 안정은 20대 이하(57.2%), 30대(56.3%), 40대(63.5%), 50대(64.9%) 등 모든 세대에서 1순위 해결 과제로 지목됐다. 2순위 과제는 연령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 항목은 20대 이하에서 23.0%, 50대에서 19.3%로 높게 나타났고, 30대에서는 ‘주거 안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각각 16.9%로 공동 2위를 기록했다.
한경협은 “신규취업과 재취업 수요가 많은 20대와 50대, 결혼 후 주택 마련 시기인 30대 등 생애주기별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했다.

13일 서울 시대 한 대형마트 내 진열된 돼지고기.최근 계란과 돼지고기 등 일부 축산물을 중심으로 물가가 오르고 있다.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대형 산불 사태와 가축전염병,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외부 변수로 물가 추이를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뉴스1
민생경제의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서는 응답자의 과반(53.5%)이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를 꼽았다. 다음으로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 증가(10.0%)가 뒤를 이었다.
한경협은 최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 초반을 유지하고 있지만, 고물가가 장기화하는 추세 속 국민들의 체감 물가 수준이 여전히 높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가 개편된 2020년 100포인트(p) 기준, 지난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8p를 기록해 4년 전 대비 16.4% 상승했다.
물가 안정을 위해서는 정부가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공공요금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수입 물가 안정(17.2%),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필요성도 함께 제기됐다.
2순위 과제로 꼽힌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응답자들은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31.9%) 정책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주택공급 확대·부동산 시장 안정’ 응답 비율(36.3%)이 가장 높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는 상황서 농산물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유통 구조를 개선해 체감 물가와 직결되는 식료품‧생필품 가격을 안정화해야 한다”며 “또한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여력을 키워 가계의 소득 창출 능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