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오른쪽)과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7년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정상회담을 하는 모습. AP=연합뉴스
'전범' 푸틴, 형사책임 논의 부상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러시아가 자행한 '전쟁 범죄'에 대한 처리 문제도 화두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국제형사재판소(ICC)는 푸틴에 대해 우크라이나 아동을 납치하는 등 전쟁범죄 혐의를 적용해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외교가에선 최근 북한과 러시아가 북한군 파병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면서 ICC가 김정은 또한 푸틴과 함께 공범으로 제소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송상현 전 국제형사재판소(ICC) 소장은 19일 '2025 북한인권 국제회의'에서 "(지금이) 김정은을 ICC에 회부할 적기"라고 주장했다. 송 전 소장은 "지금은 우크라이나가 피해국으로서 고소할 수 있는 법적 여건이 마련됐다"며 "ICC 검사가 직권으로 기소 절차를 개시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4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1일 쿠르스크주를 해방하는 데 도움을 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군인들의 전투 능력과 용감성, 영웅주의에 대해 평가했다고 2면에 보도했다. 노동신문=뉴스1
ICC가 체포영장을 발부하면 회원국은 해당 인물이 자국 영토에 들어올 경우 이를 체포할 법적 의무를 지게 된다. 이와 관련, 송 전 소장은 "(체포영장 발부 시 김정은은) ICC 회원국에 발을 들일 수 없는 사실상의 제재를 받게 된다"며 "ICC의 체포영장에는 공소시효가 없어 피의자는 평생 국제범죄자라는 낙인을 지니고 살아가게 되며, 이는 상당한 심리적 처벌"이라고 강조했다.
"북한군 전쟁범죄 회부 가능"
"책임 추궁 가능성 남겨둬야"
특히 최고존엄인 김정은 개인에게 평생 따라다닐 '주홍 글씨'를 찍는 것은 북한 체제 전체에 대한 상징적 압박이 될 수 있다.
정대진 원주한라대 교수는 “김정은을 전범으로 단죄하긴 쉽지 않지만, 정의 구현을 위한 기록과 국제사회 환기를 위해 면밀한 법적 검토는 필요하다”며 “다만 수많은 사상자를 고려하면 종전은 최대한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6월 평양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포괄적인 전락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에 서명하고 악수하는 모습. 노동신문=뉴스1
한편 외교부 당국자는 20일 김정은에 대한 ICC 제소 가능성에 관해 "ICC 제소 가능성은 북한의 참전과 군사지원 인정 여부 자체보다는 ICC 로마규정상 해당 범죄 구성 요건과 관련 구체적인 사실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다만 전쟁범죄나 인권 문제에 큰 관심을 두지 않는 트럼프가 노벨평화상 등을 노리고 종전 자체에만 속도를 내면서 푸틴과 김정은에 대한 형사적 책임 규명 절차가 자칫 협상 카드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유럽연합(EU)과 우크라이나 등이 ICC의 사법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추진 중인 ‘우크라이나 침략범죄 특별재판소’ 관련 회의에도 트럼프 행정부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와 달리 전혀 참여하지 않고 있다.